- 영문명
- HLA DRB1*04:03 and Drug Reaction with Eosinophilia and Systemic Symptoms Induced by Oxcarbazepine: A Case Report
- 발행기관
- 대한소아신경학회
- 저자명
- 여혜림(Hye Rim Yeo) 유혜원(Hye Won Yoo) 윤리라(Lira Yoon) 김혜영(Hye Young Kim) 이윤진(Yunjin Lee) 남상욱(Sang Ook Nam) 김영미(Young Mi Kim)
- 간행물 정보
- 『Annals of Child Neurology(구 대한소아신경학회지)』대한소아신경학회지 제26권 제1호, 38~42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소아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DRESS 증후군은 매우 드물지만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약물 과민반응으로 약물복용 2-8주 이후 발생하여 피부발진, 혈액학적 이상, 임파선염, 간/폐/신장 등 내부 장기 침범을 보인다. 유발 약물로는 항경련제(carbamazepine, lamotrigine, phenytoin, phenobarbital)와 allopurinol이 흔하며 oxcarbazepine과 같은 새로운 항경련제에서는 DRESS 증후군에 대한 보고가 거의 없다. 뇌전증으로 oxcarbazepine을 34일간 복용 중이던 11세 남아가 발열, 기침, 코막힘 등 가벼운 상기도 감염 증상과 전신 박탈성 피부 발진, 얼굴부종, 경부 임파선염으로 내원하였다. 혈액검사에서 백혈구 증가증, 특히 호산구 증가증이 관찰되었고 CRP와 간효소 수치가 상승하였다. DRESS 증후군을 의심하여 즉시 oxcarbazepine을 중단하고 corticosteroid 치료를 시작하였고, 피부병변과 혈액학적 이상은 서서히 호전되었다. 항경련제 변경 전 약물 과민 반응에 대한 환아의 유전적 소인을 평가하기 위해 HLA typing을 시행하였고 한국인에서 oxcarbazeine에 의한 Stevens-Johnson syndrome과 같은 심각한 급성 약물 과민 반응을 일으킨다고 알려진 H L A DR B1*04:03 이 확인되었다. H L A DRB1*04:03에서 oxcarbazepine에 의한 아급성 약물 과민 반응인 DRESS 증후군은 본 증례가 첫 보고이다. Oxcarbazepine에 의한 DRESS 증후군은 매우 드물어 예측하기 힘드나, 의심되는 임상증상이 발생하였을 때 원인 약물을 신속히 중단할 필요가 있으며 환자의 HLA typing을 확인하는 것은 보다 안전하게 대체 약물을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Drug reaction with eosinophilia and systemic symptoms(DRESS), which occurs 2-8 weeks after taking a medication is a rare and potentially life-threatening drug-induced hypersensitivity reaction, which includes skin eruption, hematologic abnormalities, lymphadenopathy, and internal organ such as liver, lung, kidney involvement. Antiepileptic agents (e.g., carbamazepine, lamotrigine, phenytoin, and phenobarbital) and allopurinol are the most commonly reported causes. However, new antiepileptic agents, such as oxcarbazepine, rarely cause drug reaction with eosinophilia and systemic symptoms. A 11-year-old boy who was administered oxcarbazepine for 34 days developed widespread rashes, facial edema, fever, cough, nasal stuffiness, tonsillitis, and cervical lymphadenopathy. Laboratory test results showed leukocytosis, eosinophilia, thrombocytosis, elevated c-reactive protein, and elevated liver transaminase levels. As we suspected drug reaction with eosinophilia and systemic symptoms, we immediately withdrew oxcarbazepine and commenced corticosteroid therapy. The patient’s skin lesions and abnormal laboratory results slowly improved. Before change the antiepileptic agents, we performed human leukocyte antigen (HLA) typing to assess the genetic risk factors of the drug reaction and the result was positive for HLA DRB1*04:03 known to cause severe acute drug hypersensitivity, such as Stevens-Johnson syndrome by oxcarbazepine in Koreans. We have presented the first report of drug reaction with eosinophilia and systemic symptoms associated with oxcarbazepine in a patient with HLA DRB1*04:03. Although DRESS by oxcarazepine is extremely rare and unpredictable, when suspected clinical symptoms occur, it is necessary to interrupt the causative drug rapidly and confirming the patient’s HLA typing may help to select a safer alternative drug.
목차
Abstract
Introduction
Case report
Discussion
요약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마이코플라즈마 감염과 동반된 급성 출혈성 뇌척수염
- Leigh Syndrome: Subgroup Aanalysis according to Mitochondrial DNA Mutation
- 2년간 뇌성마비로 오진된 GCH1 유전자 돌연변이를 동반한 도파 반응성 근긴장이상증 증례
- 4세 남아에서 발생한 Mycoplasma pneumoniae 감염이 동반된 중증 뇌염 1예
- 정상 면역 소아에서 발생한 수두대상포진 뇌수막염
- 시상하부 과오종과 연관된 성조숙증을 동반한 신경섬유종증 1예
- 케톤성 당뇨와 모야모야병으로 인한 허혈성 뇌졸증 동시 발생
- 조혈모세포 이식으로 치료한 Late infantile-onset globoid cell leukodystrophy 환자 1예
- 양성 소아기 근염과 연관된 B형독감 유행
- 소아에서의 히라야마병 2예
- PCDH 19 환자에서 효과적인 Corticosteroid 치료 사례
- 신경질환에서 정맥주사용 면역글로불린 치료의 임상적 이용
- Oxcarbazepine에 의한 DRESS증후군 환자에서 확인한 HLA DRB1*04:03 1예
- 소아청소년기 벨 마비 환자들의 임상 특징과 진료 형태에 관한 단일 기관 연구
- 급성 감염 증상 후 발생한 소아기 뇌염 및 뇌증
- 뇌파상 이상 소견을 동반한 소아의 Alice in Wonderland syndrome 대한 증례 1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소아과학분야 BEST
- 수면시간이 청소년들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
- 미디어 노출이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 언어 발달 지연아에서 한국형 영유아 발달 검사와 취학 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 척도, 영유아 언어발달검사의 비교 분석
의약학 > 소아과학분야 NEW
- Annals of Child Neurology(구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33 no.3 Contents
- Ending the Diagnostic Odyssey: Making Whole-Exome/Genome Sequencing the First-Line Test for Global Developmental Delay
- A Rare Case of Epileptic Encephalopathy Caused by X-Linked ALG13 Gene Mutation in a 6-Year-Old Girl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