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fined and Popular Tastes of Beijing atmosperhe cinema
- 발행기관
- 대한중국학회
- 저자명
- 이수연(Lee, Su-Youn)
- 간행물 정보
-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中國學 第62輯, 15~3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봉건시대 ‘아’문화를 상징했던 베이징의 문화는 1980년대 ‘문화뿌리찾기’의 일환으로 등장한 ‘경미’를 통해 ‘아’와 ‘속’이 병존하여 구축된 것이라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경미’는 단순히 지역적 특색을 나타내는 문학과는 다른, 근대성으로 대변되는 ‘도시’와 ‘인간’의 상관관계를 풀어내는 인문적 개념이 되면서 이를 통해 라오베이징부터 현재의 베이징까지 독해가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경미’는 영상 미디어의 발전에 편승하여 베이징의 시공을 시·청각적 이미지로 압축하여 사람들이 ‘경미’를 더욱 분명하게 느끼고 인식하는데 혁혁한 공헌을 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경미’ 서사와 영상 미디어의 최초의 결합 장르이자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경미’영화를 중심으로 시대에 따라 변화된 ‘경미’의 문화적 속성인 ‘아’와 ‘속’이 어떤 서사와 방식으로 체현되었는지 그 양상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the refined and popular tastes deeply linked to political and social backgrounds are China s most representative cultural properties from the advanced times to the present. During feudal times, Beijing culture represented the refined taste culture. In the 1980s, it became popular to assume that Beijing culture was established with a mixture of the refined taste and popular taste. through the advent of the Beijing atmosphere. In fact, the concept of Beijing atmosphere emerged in Beijing in the 1980s as part of the search for cultural roots. At the time it described the lives of ordinary people in the Lao Beijing space based on the literature of Lao She, and at its base, literature with a deep feeling of mourning for tradition was called Beijing atmosphere. As a result, Beijing atmosphere made a mistake by referring only to the culture of the Beijing space, which is a combination of tradition and modern. But since 1990, Beijing atmosphere has extended into the cultural arena not only in literature but also in media development, and it became clear that it was Beijing s urban cultural atmosphere and the way that Beijing people experienced and felt about Beijing culture. So It is an an humanistic concept that uncovers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and Human. Through this, we can read from Lao Beijing to the current Beijing. Beijing atmosphere also took advantage of the development of video media to expand into video text, it has become a major component of cultural composition that shapes a different culture from the existing one. As a result, the video media reflecting the Beijing atmosphere narrative has become an important reference not only for understanding but also for predicting Beijing culture.
Thus, this paper will attempt to consider the narrative and the manner in which it was revealed the refined and popular tastes focusing on the Beijing atmosphere movie.
목차
1. 들어가며
2. ‘아’(雅): ‘경미’의 의도적 재편
3. ‘속’(俗): ‘경미’의 회상과 현실적 재현
4. 나오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中國學 第62輯 목차
- 由“月梅”到“香夫人”
- 중국의 지능정보사회를 위한 교육분야 규범화에 대한 연구
- 중국 농민공의 도시정착 요인에 관한 연구
- 「자류주석(字類註釋)」 어별류(魚鼈類)에 나타나는 어류(魚類) 어휘장 연구
- 「西遊記」의 觀世音菩薩 연구
- 대학 교양중국어 교육의 과제와 방안
- 보편적 詩心과 文心의 추구
- 중국 도시문화 연구
- ‘경미(京味)’ 서사 영화의 ‘아(雅)’와 ‘속(俗)’
- 度柳翠 고사의 장르별 수용 양상 고찰
- 중국어 교육에서의 개인 신상 문제 고찰
- 명대 백화단편소설의 번역과 전유
- 吳漁山의 「三餘集」에 나타난 天學詩 硏究
- Globalization Context and the Evolution of Petty Bourgeois Factors in Chinese Films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역사와 융합 제28호 목차
- 현행 간도 교육의 문제와 정상화를 향한 시론적 연구 - 예맥한인(濊貊韓人)의 생활세계를 반영할 수 있는 ‘한국사 교과서’의 서사 문제
- 관상학에서 심상의 귀납적 접근 시론(試論) - 바람직한 심상 관리를 위한 성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