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하철 역사에서의 열차 화재 시 사전정보의 영향에 따른 피난결과 비교 분석 연구
이용수 182
- 영문명
- A Study on Comparative Analysis about Evacuation Results According to Advance Information in Underground Subway Fire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임유리(Lim Youri) 안용한(Ahn Yonghan)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8권2호, 223~230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점차 대심도화 되는 지하철 역사는 화재가 발생할 경우 대규모 인명피해를 가져온다. 이러한 대규모 피난 상황에서 인간은 본능적으로 피난을 위한 의사결정을 내리게 되며 사전정보의 차이에 따라 피난행동은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전정보 인지요인을 사전지식과 공간친숙도로 구분하고 변수를 설정하였고, 이를 반영한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피난시뮬레이션을 통한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적으로 화재 시 피난자의 사전정보가 피난에 큰 영향을 미치며, 추가적으로 피난시간의 단축을 위한 피난경로에 대한 정보 제공 방안의 개선 및 대심도 피난에 대한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underground subway station, which are becoming increasingly depth, will cause massive casualties in the fire situation. In such these massive evacuation situations, humans instinctively make decisions for evacuation, evacuation behavior change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information. Therefore, this study classified recognition factors of advance information into prior knowledge and space familiarity, and set the factors variables. The scenarios that reflect the factors compare and analyze through the evacuation simulation after those were set up. In conclusion, the advance information of the pedestrians is greatly affected by the evacuation in the fire situation,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improvements of information provision for reducing evacuation time and it will be necessary to build a system for evacuation.
목차
Abstract
요지
1. 서론
2. 예비적 고찰
3. 연구대상 선정
4. 피난시나리오 구성
5. 피난시뮬레이션 결과
6.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네트형 토석류 방호시설에 작용하는 충격에너지에 따른 앵커부인장력 산정
- 추계학적 점 강우모형을 이용한 일강우량의 시간적 분해
- 제방 리스크 분석을 통한 하천재해 위험지구 선정
- 레일 결함 탐상 초음파 탐촉자의 내마모 소재 연구
- 경제성 및 다기준을 고려한 소규모 행정구역 수해복구사업의 우선순위 평가
- 대설 대응 능력 평가를 위한 대설 피해 취약성 분석
- 재해 대응을 위한 건물 진단 3D 가시화 솔루션 개발
- KICT X밴드 이중편파레이더의 레이더 강우량에 대한 정량적 평가
- WRF Model의 초기 및 경계조건 개선이 태풍 강우량 모의에 미치는 영향
- 내화성능 평가를 위한 화재모델 비교 및 분석에 관한 연구
- 실측강우를 이용한 강우 시간분포 활용방안 검토
- 조인트를 보강한 내부 보-기둥 접합부의 내진성능
- 재난대비훈련시나리오 작성 방안에 대한 연구
- 초고층 건축물의 기초 설계 사례연구
- 홍수취약성을 고려한 치수 투자우선순위 결정 방안
- 혼화재 종류에 따른 PSC 교량용 그라우트의 재료특성 평가
- 한국방재학회논문집 18권2호 목차
- 한국방재학회논문집 18권2호 표지
- 100 MPa급 고강도 콘크리트의 크리프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고장 수목 분석을 이용한 철도 차량 일탈 사고 원인 연구
- 지진취약도 분석을 통한 전차선로시스템의 내진성능
- 지하 환승역에서 화재 발생 시 피난 해석 연구
- K-평균 알고리즘을 이용한 적설관측소 군집분석
- 과학적 재난원인조사기법을 활용한 전통시장 화재피해확산원인분석 및 개선방향
- 보험요율 분석 알고리즘 모듈을 탑재한 풍수해 보험관리지도 통합관리시스템 개발
- 모의실험을 통한 사방댐의 토석류 유출저감효과 분석
- 해안형과 내륙 곰솔림의 산불 연료특성 비교
- BS 8414-1 시험방법을 적용한 외단열 시스템의 단열재 난연 성능 등급별 화재안전성 비교 실험
- 대기확산시뮬레이션 중첩분석을 통한 부산ㆍ울산 악취피해영향범위 연구
- 리스크 곡선을 활용한 사회재난 인명피해 위험도 분석 연구
- 지방자치단체의 기능연속성계획 도입을 위한 정책 연구
- 등온법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화성능 평가절차에 관한 연구
- 비 안전등급 케이블의 연소생성물 및 인체유해성 평가 연구 필요성
- 비상시 수계전환 수리해석을 위한 A-PDA모형의 적용
- 자연 재해/재난 시 미소 파괴음을 이용한 구조물의 기초 손상위치 추정
- 퍼지함수와 PDA 모형을 이용한 비상시 용수공급 성능지표 개발
- 목재 종류별 연소특성 비교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연구
- 지하철 역사에서의 열차 화재 시 사전정보의 영향에 따른 피난결과 비교 분석 연구
- 상수관망에서 개선의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운영인자
- 완전일체형 철도 연속교의 교대 강성에 따른 수평하중 분배 특성 및 시공단계별 거동해석
- 유한수원을 고려한 Advanced-Pressure Driven Analysis 모형의 개발 및 적용
- 신뢰성 높은 표피심도 모델링 구축 방안
- 대설피해 취약 등급별 피해예측 회귀 모형 개발
- 물-토사 혼합물의 관 내 슬러리 유동특성에 대한 수치적 연구
- 우수관로 슬러리 이송에 따른 난류 전단경계층 검토
- 표준강수증발산지수와 댐 방류에 따른 저수량 변화의 통계적 분석
- 설계빈도의 지속시간별 강우강도를 고려한 침수피해 특성
- 재난자원 관리계획 수립을 위한 재난 위험성 평가
- 수치모형을 이용한 가압필터 여과시스템 내 여과기 구조 변경에 따른 유동특성 연구
- 점강우모형을 이용한 미래 시간강우자료 생산 및 미래 강우유출수 분석
- 해수면 온도에 따른 연안지역 연직풍속전단 변화 연구
- 북한이탈주민의 CBS 긴급재난문자 이해도 분석연구
- 비구조적 운영을 고려한 대림3 유역의 한계월류지점 산정기법 제안
- 다기준의사결정기법을 이용한 도시 중소유역 홍수위험도 평가
- 레일의 온도 분포에 따른 레일 변형 분석
- 금호강 유역의 주요 지류 수질평가에 관한 종합수질지표의 적용성 검토
- 토지이용 분류기준에 따른 홍수량 변동특성
- 신경망 기법과 GCM자료를 이용한 비정상성 확률강수량 산정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