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rrelations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Changes in Postmenopausal Women Using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 저자명
- 정승훈(Seung Hun Jeong) 이태희(Tae Hui Lee) 김동우(Dong Woo Kim)
- 간행물 정보
- 『방사선기술과학』방사선기술과학 제41권 제1호, 1~6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osteoporosis management by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BMD) changes after menopause by dividing the T-score of bone mineral density measured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o.
Between January 1, 2016 and July 31, 2017, women who visited the medical center of W Medical Center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postmenopausal period was divided into 5 groups, There were 18 patients within 5 years, 44 patients in 6~10 years, 134 patients in 11~15 years, 109 patients in 16~20 years and 21 patients in 21 years or older. And postmenopausal women. Bone mineral density (BMD) of the lumbar spine and femur was measured using a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The lowest value among lumbar spine 1, 2, 3 and 4 and the lowest value among the femoral neck, greater trochanter, total femur, and ward Values were measur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analyzed by using bivariate correlation coefficient method and one – way ANOVA.
In 326 patients who underwent BMD, the correlation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and postmenopausal BMD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159, p<. 01) with BMD of femur and BMD of lumbar sp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no-
. .
pausal period and negative (-.208, p< 01) was show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12) between the postmenopausal femur bone density and the mean value of the lumbar spine BMD (p<.000).
The relationship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postmenopausal women s postmenopausal status can be estimated by estimating the bone mineral density and using it as a basic data for osteoporosis management.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디지털 흉부 후·전 방향 방사선영상을 이용한 정상 한국인 폐 크기의 영상의학적 계측
- T2 이완시간의 정량적 평가에 있어서 Maximum TE의 설정 범위에 대한 연구 : 팬텀연구
- 공개용과 상업용 DICOM STL 파일변환 프로그램으로 출력한 삼차원 프린팅 쇄골 골절 모델의 품질비교
- 소프트웨어 기반 정도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부피세기조절회전치료 환자 별 정도관리의 유용성 평가
- 초음파검사에 의한 간 크기 측정방법 및정상 성인의 체격지수별 참조범위
- RESRAD 코드를 활용한 규제해제 폐기물 소각처분에 대한 안정성 평가
- 3차원 프린팅 적층가공 방식에서 매질 내부 충전이 초음파 속도와 감쇠에 미치는 영향
- 유방전용감마카메라에서 유방 보형물이 영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고찰
- 요로결석 위치 진단에 대한 복부자세 변화에 따른 연구
- 이중 에너지 X선 흡수계측법을 이용하여 폐경기간에 따른 골밀도 변화의 상관관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호주 방사선 의료 전문가 면허제도 및 교육과정 고찰: 진단방사선사를 중심으로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소아 복부 CT의 신체 크기 특이적 선량 추정치 평가
-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제27권 제2호 목차
- 소아 CT 데이터의 효과적인 잡음 제거: 성인 CT 데이터 기반 미세조정 기법의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