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lationship between the school sports club participating satisfaction level and school violence offensive conduct for Middle school studen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진필(Kim, Jin- Pil) 박대원(Park, Dae-Won) 박종률(Park, Jong-Lyul)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3권 5호, 545~56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0.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N중학교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만족도와 학교폭력 가해행동과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학교스포츠클럽의 효율성을 높이고, 학교폭력 예방 대책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생 219명의 설문 자료를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으로 수집하였고, SPSS 12.0K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사후검정(Scheffe),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년에 따른 학교스포츠클럽 참여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참여시간과 참여횟수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학년은 환경적 만족, 교육적 만족이, 참여시간은 환경적 만족, 교육적 만족, 사회적 만족이, 참여횟수는 심리적 만족, 신체적 만족, 교육적 만족, 사회적 만족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학년과 참여시간에 따른 학교폭력 가해행동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참여횟수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학년은 따돌림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참여횟수는 따돌림, 언어·신체적 폭력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학교스포츠클럽 참여만족도와 학교 폭력 가해행동과의 관계는 신체적 만족이 괴롭힘에, 환경적 만족이 따돌림에, 교육적 만족이 언어·신체적 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hool sports club participating satisfaction level and school violence offensive conduct of N middle school and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school sports club and to generate a plan to prevent school violence. In order to do this, questionnaire data of 219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ere gathered and by using the SPSS 12.0K statistics program,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e-way ANOVA analysis, post hoc(Scheff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as been implemented. As a result, first, although the school sports club participating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the grade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but participating time, participating number had significant difference. The grade had significant difference for environmental satisfac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participating time had significant difference for environmental satisfac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and participating number had significant difference for psychological satisfaction, physical satisfac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Second, although the school violence offensive conduct according to grade and participating time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but participating number had significant difference. The grade had significant difference for bullying and participating number had significant difference for bullying, verbal/physical violence. Third, relationship of school sports club participating satisfaction level and school violence offensive conduct, physical satisfaction affected harassment and environmental satisfaction affected bullying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affected verbal/physical violen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칼 포퍼식 토론 방법을 기반으로 한 학문 통합 수업의 개발 및 적용
-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포함된 수학교육 활동 내용 분석
- 대학생 학습공동체 활동의 교육적 의미 탐색
- ‘사회과탐구’에 대한 의미 형성과정과 유형 탐색
- 활동이론에 근거한 초등교사의 구성주의 교육실천 분석
- 초등학교 수학 수업 컨설팅의 의뢰 과제 특성 분석
- The Effects of Classroom Simulation On Pre-service Teachers Career Maturity
- 중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만족도와 학교폭력 가해행동과의 관계
-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평가 현황 및 개선 방안
- 협동적 게임을 적용한 체육수업 실행 연구
- 스마트교육 현장 착근을 위한 교육본위론적 전제
- 내러티브를 활용한 음악과 PCK 모형 탐색
- ‘현실과 주체인식’으로서의 모더니즘시 교육방법 연구
- 교육과정 실행에 있어서 학생 선택의 가능과 한계
- 학교폭력 가해자 심리와 가해자 유형에 관한 연구
- 여자 대학생 운동선수의 취업 경로 연구
- 예비 유아교사의 불안수준에 따른 심리적 독립이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 학교교육과정 개발 과정에 드러난 초등 교사의 정서
- 과학관련 사회쟁점 수업에서 과학교사의 교수활동에 대한 분석
- 국어교사 효능감의 성별 및 경력별 차이의 변화 분석
- DINA 모형에서 응시생 분류방법의 분류 정확성 비교 연구
- 은유와 이미지를 연계한 시교육 방안 탐색
- 초등학교 저학년용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 척도 개발
- 좋은 동화 수업에 대한 초등학교 6학년생의 인식 연구
- 딕토글로스 지도 방법이 학습자들의 듣기 및 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 Science Motivation Questionnaire Ⅱ(SMQⅡ) 번역본의 문항 반응, 일반화, 및 구조 타당도
- 학교폭력 감소 및 예방을 위한 음악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주5일수업제 적용 실태 및 인식 조사에 기초한 발전 방향 탐색
- 한국과 미국 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패턴에 대한 이해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Feasibility and Efficacy Study of an Integrated Computer-Based Auditory Training Program (MalGui) in Newly Fitted Hearing Aid Users
- Auditory Training in Children Wearing Hearing Aids and/or Cochlear Implants: A Scoping Review Mapping the Diversity of Intervention Types and Outcome Measures
- Hearing Loss Index and Aging-Based Forecasti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