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창의성의 영역과 측정에 대한 고찰
이용수 367
- 영문명
- A Study about the Domain and Test of Creativi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현아 권낙원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7권 2호, 257~27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창의성의 연구와 관련해, 창의성의 ‘영역’과 ‘측정’에 대한 논쟁은 최근에도 여전히 진행 중이다. 본고는 최근에 벌어지고 있는 논쟁을 중심으로 과연 ‘창의성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나름대로의 대답을 시도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최근에 논의되고 있는 창의성의 개념에 대하여 고찰하였으며, 창의성의 ‘영역 일반성’과 ‘영역 특수성’에 대한 상반된 논의를 검토한 후, 각 입장에 따른 객관적 ‘측정’ 방법과 주관적 ‘측정’ 방법을 검토해 보았다. 본고는 창의성의 영역과 측정에 대한 기존의 논의들을 검토하는 데에만 그친 것은 아니다. 나아가 양자의 논의에 대한 나름의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는데, 첫째로 창의성의 ‘영역’과 관련해서는 사회적 맥락에 의한 ‘영역 일반성’과 ‘영역 특수성’의 관계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영역’의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로 ‘측정’과 관련해서는 대안으로 제시된 새로운 ‘영역’에 입각한 새로운 ‘측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양자의 논의를 극복하기 위해 본고는 무엇보다도 이원론적 논의의 극단성을 지양하고자 시도하였다. 본고는 창의성의 주체인 인간이 부분적 존재가 아닌 총체적 존재라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즉, 창의성의 주체인 인간은 일반성, 특별성, 객관성, 주관성으로 명확히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시간 및 공간적 상황에 따라 때로는 그 중 하나, 혹은 그 전체로서 발현될 수도 있는 존재라는 사실에 주목함으로써, 새로운 대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고가 새로운 대안을 제시했다 하여 이러한 논쟁들이 종결되리라고 보지는 않는다. 이러한 논쟁들은 지금도 여전히 계속되고 있고,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이는 창의성의 ‘영역’이 아직도 명확히 개념화되어 있지 않으며, 창의성의 ‘측정’에 대해 여전히 여러 제한점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명한 사실은 있다. 모든 사람들은 잠재적으로 창의적이라는 사실이 그것이다. 그러므로 그들이 보여줄 수행이나 산물 모두가 창의적일 수 있다. 세계화․정보화․지식화 사회에서 독특하고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세계를 주도한다는 것은 너무나 자명하다. 사회나 기업, 학교에서는 이제 획일적인 한 가지의 정답만을 요구하지 않는다. 주어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정답이 아닌 창의적인 해답을 요구한다. 창의성에 대한 보다 깊은 연구가 절실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영문 초록
Concerning the study of creativity, the disputes about the domain and test of creativity are still spreading. We are trying the answer about the question of what is creativity, focusing on the recent topical issues. For the purpose, we observed the recently discussed concepts of creativity, and reviewed the opposite opinions between domain-generality and domain-specificity of creativity, and then the objective and subjective test methods according to them. Not only did we review the already-existing opinions about the domain and test of creativity, but also tried to propose the solutions about both two disputes. Firstly, as for the domain of creativity, we proposed an alternative by establishing the model related to domain-generality and domain-specificity, considering its social context. Secondly, as for the test, we also proposed an alternative test method based on the mentioned model. To overcome both two disputes, we tried not to endanger the extremity of dualistic disputes, and gave all eyes to the fact that man as the lord of creativity is not a partly being but a whole one. In other words, we noticed that man as the lord of creativity is not a being obviously distinguished by generality, specificity,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but one to be realized at a time by one of them, or at another as a whole. That\ s the way we could propose alternatives. Nevertheless, we don\ t believe that those disputes will come to an end soon. They are still and will still be, because the domain of creativity doesn\ t still have its exact concept, and the test of creativity also has many limitations. However, there is one obvious fact. It is the fact that everyone is potentially creative. It can be possible that all their behavior or products can be creative. In the trend of globalization, information, and knowledge, it is too certain that the world is being led by unique, innovative idea. Societies, companies, and schools don\ t require a uniform given solution any more, but they require a creative one. This is the very reason why we need the deeper study on creativity.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창의성이란 무엇인가
Ⅲ. 창의성의 영역
Ⅳ. 창의성의 측정
Ⅴ. 맺으며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사회에서의 수업평가 모델 개발 연구
- 전문계 고등학교 부적응학생의 학교적응력 향상을 위한 진로멘토링 집단상담 프로그램개발
- 초등학교 특별활동 교육과정 실행의 문제점 및 대안 탐색
- 웹 기반 동시적 토론학습에서 학습능력 및 성격특성에 따른 집단구성이 학습자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와 자기주도학습의 관계
- 메타인지・자기 효능감 및 실제적 지능과 성취도 간 인과관계의 경험적 분석
- 블랜디드 PBL을 위한 효과적인 학습 공간 활용 전략 연구
- 서양 초등교육사적 맥락에서의 primary와 elementary의 의미 분석
- TAI 협동학습이 학습부진아의 학업성취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의 목표지향성과 자기효능감의 관계 분석
- 초등학교 영어학습부진아 지도를 위한 아동문학 활용의 효용성 연구
- 전문학습공동체 구성 가능성 탐색
- 교육과정학 연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 :
- 창의성의 영역과 측정에 대한 고찰
- 대학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교수, 학생, 교사 집단간 요구의 차이 분석 :
- 개정교육과정(2007) 국어과 교육 내용 <맥락>의 교재화 방향
- 미국 Alverno 대학의 능력중심교육과정(Ability-Based Curriculum) 사례 연구
- 제7차 초등국어과 교과서에 대한 비판과 대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경계선급 지적 기능 고등학생의 진로 및 진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