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of Rice Molecular Genetic and Physical Map Using PCR-based DNA Markers with the Recombinant Inbred Population Derived from Milyang23/Gihobyeo Cross
- 발행기관
- 한국육종학회
- 저자명
- 지현소(Hyeonso Ji) 김학범(Hakbum Kim) 이강섭(Gang-Seob Lee) 윤웅한(Ung-Han Yoon) 김태호(Tae-Ho Kim) 설영주(Young-Ju Seol) 윤도원(Doh-Won Yun) 고희종(Hee-Jong Koh) 은무영(Moo-Young Eun)
- 간행물 정보
- 『한국육종학회지』Vol.44 No.3, 273~281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밀양23호/기호벼 재조합자식 유전집단을 대상으로 PCR 기반 DNA 마커들로 구성된 분자유전자지도를 만들고자, 주로 아가로스 젤 상에서 분석이 가능한 마커들을 위주로 STS, InDel, RTM, SSR 마커들을 선발하여 분석하였다. InDel 마커 37개, STS 마커 88개, RTM 마커 8개, SSR 마커 91개를 포함 한 224개의 마커로 구성된 유전지도를 만들었는데, 총 유전 거리는 1,425 cM이었으며, 마커간 평균거리는 6.7 cM이었다. 이들 DNA 마커들의 프라이머 시퀀스 정보를 바탕으로 e-PCR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마커들의 벼 유전체상에서의 물리적인 위치를 파악하고 물리지도를 작성하였다. 이 물리지 도에서 마커간의 물리적 거리의 합은 356.8 Mbp이었으며, 총 유전거리에서 이를 나누어 구한 1 cM당 평균 물리적 거리는 250 kbp이었다. 5% 유의수준에서 분리비편의(segregation distortion) 현상을 보인 마커는 전체 마커의 22.8%인 51개이었으며, 주로 3번 염색체의 중간부위, 6번 염색체의 거의 모든 영역, 7번 염색체의 상단부위, 8번 염색체의 하단부위, 12번 염색체의 상단부위에 분포하였다. 이 분자유전자지도는 자 포니카형 품종과 통일형 품종 또는 인디카 품종간의 교배후 대 집단에서 유용형질의 유전자 위치를 분석하고자 할 때 이 용 가능한 마커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영문 초록
To construct a molecular genetic map using PCR-based DNA markers with the recombinant inbred population derived from Milyang23/Gihobyeo cross, we analyzed the STS, InDel, RTM, and SSR markers which are mainly able to be analyzed on agarose gel. A genetic map comprised of 224 markers including 37 InDel, 88 STS, 8 RTM and 91 SSR markers was constructed. This map contained 1,425 cM with an average interval size of 6.7 cM. The physical map of these markers was also constructed by analyzing the physical location of each maker using its primer sequences and e-PCR program, and the average physical distance per centimorgan was 250 kbp. Among the mapped markers, 51 (22.8%) showed segregation distortion at 5% significance level. They are mainly located in the middle part of chromosome 3, almost whole chromosome 6, the upper end of chromosome 7, the lower end of chromosome 8, and the upper end of chromosome 12. These molecular genetic and physical maps would provide information on the available markers for mapping genes of useful traits with population derived from the crosses between Japonica varieties and Tongil type or Indica varieties.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사 사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생 단간 내도열병 반투명 중간찰 벼 ‘월백’
- Identification of Molecular Markers for Mesocotyl Elongation in Weedy Rice
- Optimization of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in Japonica-type Rice Oryza sativa L. cv. Dongjin for high Efficiency
- 벼에서 Agrobacterium vector를 이용한 세포사멸 억제 유전자 도입
- 벼 줄무늬잎마름병 신규 저항성 유전자원 탐색을 위한 유전적 다양성 분석
- 채엽 효율 및 수량성이 높은 엽용 들깨 신품종 ‘동글1호’
- 벼의 밀양23호/기호벼 재조합자식 유전집단을 이용한 PCR 기반 DNA 마커들로 구성된 분자유전자지도 작성
- 벼 중만생 자포니카 내병 초다수성 ‘보람찬’
- 사시나무의 클론 생장에 관여하는 주요 대사물질의 구명
- 보라색 홑꽃형 분화용 국화 ‘마이송’ 육성
- 중생 차조 ‘경관1호’
- 찰옥수수와 단옥수수간 교잡으로부터 유래된 F2:3 집단에서 수량 및 식미관련 형질의 유전분석
- 벼 중생 고품질 내도복 복합내병성 중간모본 ‘중모1009호’
- 중만생 고품질 벼멸구 저항성 벼 품종 ‘친농’
- 연황색의 다수성 절화용 스프레이 장미 ‘레몬티’ 육성
- Comparative Analysis among Four Citrus Species by DNA Microarray
- 도복 및 역병에 강한 다수성 검정깨 신품종 ‘강흑’
- 벼 중만생 고품질 내도복 신품종 ‘미품’
- 등숙기에 따른 검정찰옥수수 자식계통 및 교잡계의 안토시아닌 함량 및 항산화 활성
- STS-CAPS 마커 개발을 통한 110개 한국 콩 품종 판별
- SDS-PAGE 및 PCR 을 활용한 국산 밀 품종의 글루텐닌 조성 분석
- SSR 분자마커를 이용한 색소옥수수 계통들에 대한 계통유연관계 및 집단구조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고효율의 아그로박테리움 형질전환법을 이용한 제초제저항성 나리 식물체 개발
- Effect of media components on hyperhydricity in horticultural crops: A review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Evaluation of Genetic Diversity of Azerbaijani Grape Varieties (Vitis ssp.) by Using ISSR Markers
- Validation of Molecular Markers for Breeding High Antioxidant Traits in Thai Rice
- Efficient Seed Sterilization and Protoplast Isolation in Milk Thistle (Silybum Marianum (L.) Gaert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