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용자보호를 위한 체육시설법 정비방안 연구
이용수 84
- 영문명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port Facilities Act for protecting users
- 발행기관
- 한국재산법학회
- 저자명
- 윤민섭(Yun, Min-Seop)
- 간행물 정보
- 『재산법연구』財産法硏究 第34卷 第3號, 173~19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1.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과 각종 웰빙붐과 같은 건강에 대한 사회적 관심 및 우려가 증가하며 스트레스 해소 수단 및 취미활동으로서의 체육 활동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체육활동 및 체육시설이용이 증가하면서 그로 인한 분쟁도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체육시설을 이용하는 소비자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해서 체육시설과 관련된 법률을 살펴보고, 소비자분쟁 등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원인을 찾아서 정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체육시설에 관한 법률인 「체육시설의 설치ㆍ이용에 관한 법률」 및 유관 법률 등을 분석하였고, 관련 자료 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현재 관련 법률간 충돌 및 규제미흡으로 인하여 분쟁이 원활히 해소되지 않고 있으며, 안전문제 또한 제기되고 있다.
체육시설업 관련 법률을 검토한 바에 의하면 현행 체육시설법은 크게 2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체육시설법상 체육시설업의 범위가 협소하다는 점이다. 행정소요를 줄이고, 관련 규제의 적용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되나, 그로 인하여 분쟁해결이 원활하지 못하며, 최근에는 어린이 안전의 사각지대를 유발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둘째, 소비자에게 불리한 계약을 허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방문판매법 및 분쟁해결기준에서 정하고 있는 환불기준보다 소비자에게 불리한 약관을 사용하더라도 체육시설법 제22조의 규정에 따라 유효한 계약으로 인정된다. 이와 같은 2가지 문제점으로 인하여 소비자분쟁
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체육시설업의 범위확대’ 및 ‘소비자에게 불리한 계약의 금지’라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며, 체육시설법의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영문 초록
As social interest and concern for health such as entering the aging society and various well being increase interest in sports activities as a means of stress relief and hobby is increasing. But sports and the use of sports facilities have increased, and disputes caused by it are also increasing. Currently, several acts provide provisions on physical education facilities. For example, Installation and Utilization of Sport Facilities Act, Act on Door-to-Door Sales, etc., Road Traffic Act, Criteria for the settlement of consumer disputes etc.
The study aims to protect the law regarding consumer rights using sports facilities, and to look for ways to establish and repair consumer disputes. For this purpose, the Act on the Utilization and Utilization of Physical Education Facilities for Physical Education Facilities and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was analyzed and related materials were reviewed. As a result, conflicts are not resolved due to current legal conflicts and lack of regulations, and safety concerns are also being raised. Furthermore, it was difficult to find research materials related to the protection of users in sports facilities.
The existing sports facilities law has two major problems. First, the scope of sports facilities is limited because of the Act on Sports Facilities. It is deemed to reduce administrative requirements and minimize the enforcement of relevant regulations, but it is not easy to resolve the dispute, and has recently caused difficulties in creating a blind spot
for children s safety. Second, it is allowing consumers to sign a contract. Terms and conditions are recognized as valid pursuant to Article 22 of the Act on Promotion of Sports Facilities, although the terms disadvantageous to the consumers are used to refer to the terms and conditions set forth in the basis of the terms and conditions of the
purchase. These two problems continue to increase consumer disputes continuously
목차
Ⅰ. 서론
Ⅱ. 체육시설관련 법률
lll. 이용자보호를 위한 법령 정비방안
l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매수인의 추완청구권(Nacherfüllungsanspruch)과 매도인의 추완권(Recht zur Nacherfüllung) 사이의 이익균형
- 담보책임법상 감액청구권과 손해배상청구권
- 개정 프랑스 민법상 사무관리, 비채변제 및 부당이득
- 부동산담보신탁에서 수익권의 법적 성질
- 消滅時效와 除斥期間의 起算點의 判例理論에 관한 一考察
- 서비스 판매형 전자상거래의 쟁점과 과제
- 공유경제산업과 소비자보호
- 복수의 소비자계약의 경제적 일체성과 소비자보호
- 신유형 상품권의 소비자계약적 법률관계
- 사용자 「배상」 책임에 있어서 구상권의 제한
- 이용자보호를 위한 체육시설법 정비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