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asurement & Comparison of DAP on Fluoroscopy Studies : Esophagography, UGI Series, Swallowing Study
- 발행기관
-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 저자명
- 노현아(Hyun A Noh) 조한영(Han Yeong Cho) 문규오(Kyoo O Moon) 손순룡(Soon Lyong Son)
- 간행물 정보
-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논문지』2009년 춘계학술대회 논문지, 15~23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3.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 This thesis is, esophagography, UGI series, swallowing study using DAP meter measure in checking and fluoroscopy time, body weight, to learn about the correlation with image number, compared with earlier studies and seek the ways of reducing the radiation dose.
Materials and Methods : October- December 2008 was an experiment of 212 patients. Philips has used its equipment, DAP meter adherent in front of X-ray tube calibration, and using the ion-chamber. By checking the patients weight, fluoroscopy time, image number and DAP values were measured.
Results :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esophagography fluoroscopy time as an increase in the DAP had paid attention to statistics (P<0.05). In UGI series,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weight, fluoroscopy time, image number as an increase in the DAP had paid attention to statistics (P<0.05). In swallowing study, fluoroscopy time and DAP had paid attention to statistics (P<0.05). In all test, depending on the increase in fluoroscopy time also DAP had increased gradually. In case of our hospital, the average DAP and fluoroscopy time with advanced studies to compare at least 2.4 times, respectively, 6.5 times as high was investigating. In UGI series, fluoroscopy time at least 1.7 times, DAP 2.6 times, image number also was 2.4 time higher.
Conclusion : To reduce patient dose for fluoroscopy examination, in here and now, they should evaluate patient dose and accurately analyze related factors of exposure dose. It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patient dose is reduced in good image quality by perfonning the examinations for reference of advanced studies or recommend dose recommended dose i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목차
Abstact
Ⅰ. 서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과
IV.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표준 촬영기법(식품의약품안전처)을 기준으로 한 Skull A-P 촬영 시 Lens의 피폭선량감소를 위한 촬영조건 연구
- Telos Stress Device에 대한 정도관리메뉴얼 및 실태 조사
- CT에서 조영제 주입검사와 Non Contrast IVP 검사의 연구
- DR System에서 L-Spine 검사 시 HVT(High Voltage Technique)의 유용성
- VCUG 검사 중 피폭선량에 관한 고찰
- 측두하악관절 CINE 기법의 유용성에 대한 고찰
- 영유아 복부 선자세 촬영시 보조기구의 활용이 영상에 미치는 영향
- 위절제술을 시행한 조기위암환자에서 위치확인을 위한 위장조영검사와 위내시경검사의 비교분석에 따른 진단률 향상에 관한 연구
- Digital Radiography Chest PA 촬영 시 SID 감소에 따른 선량과 영상평가에 관한 연구
- 격자와 초점간 거리에 따른 Cut-Off 현상
- Chest PA 검사 시 피검자의 Effective Dose(유효선량)에 관한 고찰
- 투시조영 검사에서의 면적선량의 측정 및 비교
- 유두 분비물을 원인으로 하여 시행한 Galactography의 유용성에 관한 고찰
- C-arm 사용 시 환자 피폭선량 저감에 관한 연구
- 상부 위장관 조영 검사 전 동영상 시청을 통한 검사 효율성 증대 방안
- 투시와 저격촬영 중 검사실내 거리에 따른 인체부위별 누설선량의 비교분석
- MCNPX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Co-60과 Cs-137 방사핵종의 감마상수 확인
- C-arm 투시 사용 시 방향과 거리에 따른 입사선량
- Tube 방향에 따른 조종실에서의 산란선에 관한 연구
- 일반촬영의 대기시간 단축을 위한 Process 개선에 따른 기대효과
- 부가필터 사용에 따른 환자피폭선량 저감 평가
- 유리선량계를 사용하여 Colon study 중 검사자가 받게 되는 산란선량 측정을 통한 고찰
- 의료용 모니터 정도관리 방법을 이용한 일반용 모니터 정도관리 사례연구
- A PC-Based Monte Carlo Program과 유리선량계를 이용한 장기선량 및 유효선량 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호주 방사선 의료 전문가 면허제도 및 교육과정 고찰: 진단방사선사를 중심으로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소아 복부 CT의 신체 크기 특이적 선량 추정치 평가
-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제27권 제2호 목차
- 소아 CT 데이터의 효과적인 잡음 제거: 성인 CT 데이터 기반 미세조정 기법의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