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iveness of Fluoroscopy for Analysis of Active Abduction Movement of Hemiplegic Patients’ Shoulder Joints
- 발행기관
-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 저자명
- 장동혁(Jang Dong Hyuk) 이경록(Lee Kyung Lok) 김경환(Kim Kyung Hwan) 한승희(Han Seung Hee) 이동명(Lee Dong Myung)
- 간행물 정보
-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논문지』2007년 춘계학술대회 논문지, 89~97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3.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 To evaluate clinical effectiveness of fluoroscopy guided motion analysis of active abduction of hemiplegic shoulder joint by analyzing motion of scapula and humeral head with fluoroscopy, and to provide assistance to elementary research on pain associated with hemiplegic patients’ shoulder abduction.
Materials and Methods : From acute phase stroke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s rehabilitation department, 19 patients with ability to abduct shoulder joints were selected as subjects. Depending on degree of active motion recovery,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o compare differences during abduction of shoulder joints. Standard resolutions, partitioned by video processing part of an image control equipment, was simultaneously received by a computer to be recorded and analyzed.
Results : By utilizing the fluoroscopy obtained by the computer capturing, values for variables at abduction angle of 30, 60, and 90 degrees could be determined, and the distance between scapula and thoracic vertebra (D1, D2, D3) could be measured for unaffected and affected side. Group 1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5) between unaffected and affected side for the distance between scapula and thoracic vertebra(D), while Group 2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Trajectory of humeral head of the affected side was significantly superiorly translated than that of the unaffected side, and also showed tendency for medial translation(p<0.05).
Conclusion : Motion analysis on abduction of shoulder joint using video fluoroscopy provides better quantitative analysis compared to previous medical imaging evaluation methods.
목차
Abstact
Ⅰ. 서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편마비 환자의 견관절 능동적 외전 동작분석을 위한 방사선투시 동영상촬영의 유용성
- 배변조영술과 대장통과시간 검사를 함께 시행한 환자의 배변 유형 고찰
- 크론병 환자의 진단에서 식습관 및 성격 특성에 따른 소장조영술 적용에 관한 연구
- 상부 위장관 조영검사에 따른 생활습관 및 대사증후군 인자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고찰
- 직접방식 Flat Panel Detector를 이용한 Tomosynthesis의 유용성 평가
- 비뇨기계 전산화단층촬영 후 일정 간격으로 시행한 Serial KUB와 IVP의 임상적 고찰
- VCUG를 이용한 VUR 환아의 임상적 고찰
- 인구사회학적특성 및 위험요인과 위장조영검사 유소견율간의 관계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방사선학과 학생 실습환경에 관한 연구: 실습실 내 미세먼지, 휘발성유기화합물 위해도를 중심으로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무증상 치밀 유방 여성에서 인공지능 기반 컴퓨터 보조 진단 장치의 유용성 연구
- Cardiofocal Collimator를 이용한 SPECT 검사 활용 증대 방안에 대한 연구: Brain SPECT를 중심으로
- 심장초음파의 좌심실이완기능장애와 대사증후군의 상관관계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