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Exploring the Narrative of the Transitional Period of an Adolescent Study Abroad Student
이용수 116
- 영문명
- 청소년 조기 유학생의 내러티브에 나타난 정체성 전환 연구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A Young Park(박아영)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20호, 41~6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0.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case study explores the narrative of a teenage Korean girl who studied abroad in an English speaking country as an unaccompanied minor, in order to trace her adjustment process to a host country. Furthermore, this study focuses on how her English learning is related to her social and cultural adjustment process. A narrative inquiry was conducted by interviewing the 16-year-old Korean adolescent, Kangmin, who moved alone to the UK for the purpose of English learning once a week for three months. Holistic-content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mes that appeared repeatedly in the various stages of Kangmin s account. The findings provided insight into her struggle to accommodate herself to her new learning and living environments, in terms of what she gained and lost. In addition, the findings showed that English played a critical role in her accommodation as learning language is an important part of the ongoing cultural social transition.
영문 초록
본 연구는 보호자 없이 조기 유학생활을 하고 있는 16세 소녀, 강민의 내러티브를 통해 사춘기 조기 유학생이 영어 학습을 위해 떠난 해외에서 홀로 겪는 언어적, 문화적, 심리적 어려움과 이를 이겨내고 극복해가는 과정에서 오는 도전과 성장을 전체론적 접근법을 통 해 분석했다. 유학 초기, 언어 장벽과 문화적 이질감, 부모와의 물리적, 심리적 분리에서 오 는 불안감으로 인해 적응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었던 강민은 영어와 새로운 문화와 규범을 익히고 청소년에서 성인으로, 외국인에서 유학 이민자로 가는 전환기를 맞는다. 이러한 전 환을 통해 강민이 잃어버린 것들과 새롭게 얻은 것들에 대해 알아보고 이 과정에서 언어의 역할과 부모의 부재가 갖는 의미에 대해 살펴봤다.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Ⅲ. METHODOLOGY
Ⅳ. RESULTS
V.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치원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조직 내 인간관계 분석
- 정보 전달 프레젠테이션 자료에 나타난 외국인 학부생의 오류 양상 연구
- Exploring the Narrative of the Transitional Period of an Adolescent Study Abroad Student
- 내러티브 사고 중심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그림책 읽기태도에 미치는 영향
-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들의 생애사 분석을 통한 복지권의 확대와 제언
- 초등학교 영어 읽기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 및 개선 방향
-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yle Preferences and Self-Assessment of Writing Strategies Used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 노인놀이치료사 참여프로그램이 경력단절 여성 예비놀이치료사들의 놀이치료 인식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팀기반 학습에서 동료평가 사전 인식교육이 평가의 신뢰도, 팀활동의 만족도, 동료평가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 ‘혐오’에서 ‘공존’으로: 교양교육의 역할과 여성주의 페다고지
- 다문화 여성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자아존중감 및 결혼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청각 영상자극에 따른 유아의 전두부 뇌파반응에 대한 연구
- 초·중학교의 기초학력 향상방안 연구
- 여성 리더십 측정을 위한 한국 여성 알파성격 척도(K-AFI; Korean Alpha Female Inventory) 타당화
- IPA를 활용한 체육 안전사고에 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 연구
- 유아교육학 전공연계를 통한 고등학생의 자원봉사활동이 청소년 활동역량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 스마트폰 동영상 자가평가를 활용한 기본간호학 실습 교육의 효과
-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의 구조적 관계 분석
- 학업지연행동 유형분류연구의 동향과 과제
- 스스로를 저성취로 평가한 인문계 고등학생이 생각하는 국어과 학업성취 및 학교생활만족 방해요인
- Does Gender Still Matter?: The Usage and Acceptance of Smartphones for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 대학 수업에서 역량 중심 평가의 사례 연구(I)
- 유아의 공격성, 지배력과 또래관계와의 관련성: 성별을 중심으로
- 청소년활동 만족도가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핵심역량 특성과 창의적 인성과의 관계
- 교사의 학습을 지원하는 교육과정 문서 활용 양상 탐색: 2015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좋은 학교” 사례 연구: 중산층 지역에 있는 혁신중학교교장의 학교운영과 학부모의 반응
- 협동학습이 한국 EFL학습자의 영어 말하기 능력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 편지쓰기를 통한 중등수학 예비교사의 과제변형 특징
- 쓰기 수행 수준에 따른 상황 맥락 고려 양상 분석: 고등학생의 사고구술 자료를 바탕으로
-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교육과정 재구성의 제약요인 탐색
- IPA 기법을 적용한 유아교육기관 선택속성 연구
- 체육수업에서 초임 체육교사와 학생의 관계에 관한 정서적 지형도
- 농어촌 도서벽지 환경문화를 대하는 예비교사들의 인식이 미술교육에 주는 의미
- 근거이론적 접근을 통한 지적장애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과정 분석
- 큰 물고기 작은 연못 효과(Big-fish-little-pond effect)에 대한 종단적 탐색: 중학생의 수학의 정의적 성취를 중심으로
- 사회과 글쓰기 수업을 통한 융복합 교육 방안
- 한국전통문화 경험과 외국인 유학생의 사회문화적응 과정: 신체활동을 중심으로
- 예비유아교사의 학교현장실습경험 분석: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 기준을 적용한 D대학 사례
- 작곡전공 음대생들의 20세기 음악 학습과 진로선택에 대한 인식
- 대학생의 성취동기와 학업몰입의 관계: 성차와 학년차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문학교육에서 내러티브와 메타포의 상생 방안 탐구
- 초기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경험과 삼각 멘토링 모델의 역할: H-점프스쿨 대학생 봉사자 출신 사회인 멘토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 내러티브 신경과학의 현상학적 모델에 기반한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