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n affecting pre-learning of Elementary studen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재덕(Jaeduck Lee) 권순형(Jaeduck Lee) 김정민(Jungmin Kim) 김도기(Doki Kim) 도승이(Seunglee Do)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12호, 183~21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선행학습 유발 요인을 분석하고 선행학습 해소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탐색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층화군집추출(stratified cluster sampling method) 방식으로 2015년 5월 2일부터 27일까지
25일 간 전국의 초등학교 6학년 재학생 3,518명과 그에 대응되는 학부모 3,417명을 추출하여 우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일반화선형모델(Hierarchical Generalized Linear Models, HGLM) 분석 방법에 따라 분석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선행학습에 있어 가정의 소득수준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모의 연령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사회·심리적 변인군에서는 학생의 지적 호기심과 막연한 불안감, 학부모의 위탁적 동기, 경쟁적 동기, 외재적 동기 등이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경쟁적 사회·문화에 대한 학생 인식 및 명문 상급학교 진학에 대한 학생 인식 등이 선행학습 참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uses of affecting elementary students’s pre-learning.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It was extracted by stratified cluster sampling which was 3,518 students from 6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in Korea and 3,417 parents through surve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Hierarchical Generalized Linear Models (HGLM) analysis metho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ncome level of the family had a static effect on the elementary student’s pre-learning, but the mother’s age had a negative influence on it. Second, it had positive influenced on elementary student’s pre-learning which was intellectual curiosity, vague anxiety, parental consignment
motivation, competitive motivation, and external motivation. Third, it had positive influence on elementary student’s pre-learning which was student’s perception of competitive societies & cultures and Prestigious school’s admiss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고등학생용 성취정서검사지(간편형)의 타당화
- 노인 문화자원봉사자의 생애사
- 수정된 델파이조사를 통한 유아강점 구성요인 개발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만족의 영향요인과 자기주도성과 임상실습만족과의 관계에서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의 매개효과
- 태권도 품새 수련이 초등학생의 자세 안정성및 기능성 운동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체육수업에서 지각된 학습환경이 중학생의 자기조절전략 및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 유아 정서조절력과 유치원 적응간의 관계에서 유아교사의 언어적 통제유형의 조절효과
- 조직개발기법을 활용한 학교공동체 컨설팅 모형 개발
- 초등학생의 선행학습 유발 요인 분석
-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낙관성의 조절효과
- 유교 인성교육론의 현대적 이해를 통한 ‘성찰(Reflection)’의 원리
- 학술적 글쓰기 주제 선정을 위한 단계별 지도 사례 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 실과 ‘생활과 기술’ 단원의 발명교육 목표 및 내용 분석
- 아동의 조사(助詞)학습을 위한 딕토글로스를 활용한 수업 실행 연구
- 한국과 핀란드의 유아교육제도 비교연구
- 체육교육학에서의 창의성 연구 동향 파악을 위한 키워드 네트워크(keyword network) 분석
- ‘다문화교육’ 관점에 따른 한국어 교육과정(KSL)의 실행 검토 *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 ‘교육과정과 교재’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생활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의 관계: 한국과 뉴질랜드 청소년 비교연구
- 초등 국어 교과서 개발 참여 주체의 협력적 파트너십 인식 조사
- 포스트 통일, 사회통합을 위한 학교 통일교육의 방향: 통일교육 연구학교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자기통제와 학업 소진의 관계: 부모의 조건부 관심과 심리적 통제의 매개효과
- 지역 종합복지관 여성노인의 학습참여태도와 학습만족이 참여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의 유아교육공동체 구축 태도, 부모교육 참여도 인식 및 자녀와의 대화 시간이 교사와의 협력에 미치는 영향
- 택견 수련에 대한 청소년의 인식과 교육적 의미: 택견 철학을 중심으로
- 학부모 학교참여가 자녀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 연구
- 유아교육기관에 자녀를 보내는 어머니의 부모-교사 협력과 삶의 만족과의 관계: 부모 참 역량에 의해 조절된 유아교육공동체 인식의 매개효과
- 미래 사회통합을 위한 통합체육 교육과정 개발
- 유전과 진화개념 문제를 활용한 과잉확신 인지편향 측정의 타당화 및 성별과 계열차 분석
- 유치원 교사들의 퍼포먼스 미술활동 경험에 대한 긍정적인 요소 및 어려움
- 간호대학생 자기주도적학습 수업요구도와 교수자 스캐폴딩 적용 효과
- 초등학교 교사의 1급 정교사 자격연수 경험에 대한 자기 성찰
- 창의성요소와 인성요소의 유기적 결합을 위한 탐색
- 교육공동체를 위한 특수교사의 역량 척도 개발
- 농업교육 실천에서 나타나는 교사의 감정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학교자율시간에 대한 초·중학교 교사의 인식분석
- 대학 교양교육에서의 사고 개발 가능성: 영화 ‘미키17’과 봉준호감독의 인간 이해와 창작 철학을 중심으로
- 조직공정성이 유아교사의 조직몰입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의 직렬다중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