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the Park’s Gov. 3.0 Performance for Government Innovation Perspectives
- 발행기관
- 경인행정학회
- 저자명
- 신 열(Yeol Shin)
- 간행물 정보
- 『한국정책연구』제17권 제3호, 107~12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박근혜정부가 정부혁신의 활동을 추진한 정부3.0의 성과를 참여자 인식조사와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분석의 다양성을 위하여 참여정부의 혁신수준진단모델(GII)을 원용하여 분석모형을 설정하였고, 다양한 비교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조사에 참여한 중앙정부와 공공기관들은 지속적인 혁신활동을 통해 많은 개선이 있었지만, 여전히 정부혁신을 추진하는데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도출되었다. 성공적인 정부혁신은 혁신을 추진하는 기관차원에서 전구성원이 비전->전략->과제 차원에 대한 공유가 전제되고, 혁신활동에 대한 주기적・상시적 진단과 환류 노력이 요구되었다. 또한 이 연구는 구성원들의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학습이 있고, 이것이 조직 내・외부 주체들과 연계된 학습조직의 형성이 요구되며, 혁신주도부처가 충분한 교육콘텐츠의 제공과 리뉴얼이 있어야 한다는 점도 제시하였다. 결국 혁신의 지속성과 성장성은 기관의 조직문화에 내재화되어야 가능하며, 이를 위해 적절한 보상과 격려와 컨설팅이 구성원의 눈높이에 맞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도 제안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focusd on the performance of Park’ Gov. 3.0 in Government Innovation perspectives by Participants Recognition Survey. For the diversity of analysis, the analysis model was set up by using the GII of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entral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participating in the survey have made many improvements through continuous innovation activities, but successful government innovation requires that all members share the vision → strategy → task dimension at the organizational level that promotes innovation, and periodic and regular diagnosis and feedback efforts are required for innovation activitie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ctive and voluntary learning of the members, the formation of the learning organization in connection with the internal and external subjects, and the innovation-led ministries should provide sufficient educational contents and renewal. Finally, it is suggested that sustainability and growth of innovation should be internalized i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organization, and appropriate compensation, encouragement and consulting should be done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membe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조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경찰공무원의 보수체계 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 청소년 사이버폭력과 디지털 혐오표현의 폭력순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차별적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법원종합청사의 출입통제 및 CCTV 종합상황실 운영체계 고도화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