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annabinoid 1 Receptor Antagonists in Substance Dependence
- 발행기관
- 한국중독정신의학회
- 저자명
- 조근호(Keun-Ho Joe) 김대진(Dai-Jin Kim) 이영식(Young-Sik Lee)
- 간행물 정보
- 『중독정신의학』Vol.10, No.1, 9~17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t is now being elucidated that the endocannabinoid system is one of the neurotransmitter system normally existed in our brain. Anandamide, one of the main endocannabinoids, act as a retrograde messenger in the synapse through cannabinoid 1 receptor, and it modulates the activities of synaptic transmission by decreasing the function s of presynaptic neuron. The process is so-called long-term depolarization. Therefore the endocannabinoid system is believed to do a pivotal role in the formations of memory process and habit formation. Furthermore, the endocannabinoid system is thought to be involved into the development, maintenance and relapse of the syndromes in substance dependence, by the endocannabinoid system itself or by the interaction with other neurotransmitter system. By the selective cannabinoid 1 receptor antagonists, the repetitive behaviors of animals or humans toward addictive substance like nicotine, alcohol, opioids, and cocaine were changed. It could mean that not only the brain reward circuit through mesolimbic dopaminergic pathway but also the alternations of neurons by endocannabinoid system will be on the important position in the neurobiologic backgrounds of addiction. Several CB1 receptor antagonists were in developing (e.g., Rimonabant) to treat the substance dependence. According to the outcomes of clinical trials, some of the pharmacological agents will be applied to our patients. Until now, clinically approved medications in addiction fields were just an aversive agent (e.g., disulfiram) and anticraving agents (e.g., naltrexone and acamprosate). It will be meaningful for us to have another therapeutic tools with novel mechanism.
목차
서 론
본 론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BEST
- 청소년 도박 실태 및 치료방법 고찰
- 청소년 온라인 도박중독의 실태 및 지역사회 개입 방안을 위한 질적 탐색 연구
-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과 경계선 지능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관한 사례연구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NEW
- 예술 매체를 활용한 국내 코칭 연구 동향: 2014년부터 2024년까지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 중심으로
- 교사 지지가 진로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 미결정의 매개효과
- 대학생 팀 스포츠 활동과 갈등관리 능력의 관계: 의사소통 능력의 매개 효과를 바탕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