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엎드린 자세에서 디지털 전척추 촬영술의 유용성 분석
이용수 75
- 영문명
- - The Usefulness Analysis of Whole Spine Digital Radiography in Prone Position -
- 발행기관
-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 저자명
- 오창섭(Chang-Seob Oh) 김광수(Kwang-Soo Kim) 손순룡(Soon-Lyong Son) 이관섭(Kwan-Sup Lee)
- 간행물 정보
-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논문지』2013년 춘계학술대회 논문지, 1~1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3.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기립 전척추 전후면 검사와 엎드린 자세에서 디지털 전척추 검사의 Cobb‘s angle 차이를 실질적으로 비교하여 엎드린 자세에서 디지털 전척추 검사의 유용성을 입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2년 8월부터 2013년 2월까지 척추 측만증으로 기립 자세와 엎드린 자세 에서의 디지털 전척추 검사를 시행한 환자 91명을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King 분류법으로 분류한 후, Cobb s method를 이용하여 각각의 만곡 각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을 통해 얻어진 자료는 대응t검정으로 유의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척추 측만증의 Cobb s angle의 측정 후, 통계적 분석결과 엎드린 자세일 때는 기립 자세일 때에보다 흉부만곡은 평균 25.5%, 요부만곡은 평균 25.2%, 이중만곡에서는 흉부는 평균 22.8%, 요부는 21.7%로 모두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1). 흉추와 요추에서 기립 자세의 척추 측만각이 커질수록 오차의 각도가 커지는 상관 관계가 있었다.
결론: 척추 측만증의 수술자세와 동일한 엎드린 자세에서의 전척추 검사는 척추 측만증 환자의 수술 전 검사에 매우 유용하므로 임상적용 시 매우 유용하리라 판단된다.
영문 초록
rials and Methods: After King classification, measurements of scoliosis angles with Cobb s method were carried out in a sample of ninety-one patients who examined whole spine digital radiography in standing position and prone position for scoliosis from August 2012 to February 2013.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nalyzed by t-test with the results.
Results: In prone position, thoracic scoliosis was 25.5%, and lumbar scoliosis was 25.2% on the average compared to the standing position. For double scoliosis, thoracic scoliosis was 22.8%, and lumbar scoliosis was 21.7% on the average showing decreases. All the result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p<.01). There was a correlation that the error angles increased as the scoliosis angles of thoracic and lumbar spine in standing position increased.
Conclusion: Because an operative correction is performed in prone position, whole spine digital radiography in the same prone position would be useful as a pre-examination of the operation and applicable to the clinical practice.
목차
I. 서 론
II. 대상 및 방법
III. 결 과
IV. 고찰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흉추 측면 검사의 Technique별 CNR과 SNR 비교 연구
- 종자골 촬영 시 변형된 Holly Method의 유용성 평가
- 방사선 선량관리시스템(Dose Track)을 이용한 일반촬영 환자피폭선량관리의 중요성
- 신경섬유종증을 동반한 중증 경흉추 측후만증 소아 환자의 O-arm Navigation System을 이용한 전방 경추체 융합술 및후방 후두-경흉추 고정술: 증례보고
- 직접 디지털 방사선촬영(DR)이 가능하도록 고안 된일반촬영 보조테이블의 편리성 및 신속성 평가
- Shoulder Axial 검사 시 Modified Lawrence Method의 유용성 고찰
- DR system에서 피사체 및 이물질의 위치에 따른 Exposure Index에 변화에 대한 연구
- Traumatic Elbow 환자에 있어 Modify Elbow Oblique View 촬영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 이중에너지 흉부 방사선 촬영술
- 남성 유방촬영술에서 진단된 여성형 유방과 유방암의 실태
- 소아 환자의 성별과 연령별 생식선 차폐체 제작을 통한 유용성 평가
- 슬관절 전치환술(Total Knee Arthroplasty)후 슬개골 접선방향촬영에 대한 고찰: Modify Merchant View와 Modify Weight-bearing Axial View 비교
- 이동식 디지털 X선 촬영에서 앉은 자세의 흉부 전후방향촬영 시 SID 변화에 따른 적정 촬영조건에 관한 연구
- 상부 위장관 검사 시 조영제로 사용되는 황상바륨 분말형과 액상형의 영상비교 분석(EGC 와 AGC환자 중심으로)
- 엎드린 자세에서 디지털 전척추 촬영술의 유용성 분석
- Wrist PA–grip view에서 원위요척관절 측정의 왜곡도 평가 및 정확한 측정을 위한 검사법 제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방사선학과 학생 실습환경에 관한 연구: 실습실 내 미세먼지, 휘발성유기화합물 위해도를 중심으로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Attention UNet을 활용한 유방 초음파 영상 병변 분할: IoU, Dice, Accuracy, F1 Score 기반 개별 모델 평가
- 방사선사 맞춤형 조영제 정맥주사 교육과정 개발
- 초박편 방사선 차폐재의 납당량 산출방법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