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Different Frequency of Cue Exposure Treatment on Reduction of Alcohol Craving in Alcoholics
- 발행기관
- 한국중독정신의학회
- 저자명
- 김성곤(Sung-Gon Kim) 전명호(Myong-Ho Chon) 박제민(Je-Min Park) 김시근(Si-Geun Kim)
- 간행물 정보
- 『중독정신의학』Vol.3, No.1, 31~36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9.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 of different frequency of cue exposure treatment on reduction of alcohol craving in alcoholics. Male alcoholics who had been admitted to one psychiatric hospital in Pusan were assigned randomly to two groups. In one group the subjects (n=7) were treated with one session of cue exposure treatment everyday for 19 days, and in the other group the subjects (n=8) were treated with three consecutive sessions of cue exposure treatment every three days for 19 days. The alcohol craving was reported by
the subjects in both groups after 1st, 4th, 7th, 10th, 13th, 16th and 19th session of cue exposure treat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1) There are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he reduction of alcohol craving by cue exposure treatment.
2) While in the group treated with one session of cue exposure treatment everyday, the alcohol craving after 16th sess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with it after 1th session, in the group treated with three consecutive sessions of cue exposure treatment every three days, the alcohol craving after 19th sess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with it after 1th session.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reating alcohol dependent patients witth three consecutive sessionsof cue exposure treatment every three days is more cost-effective
than treating them with one session of cue exposure treatment everyday.
목차
서 론
연구 대상 및 방법
결 과
고 찰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카페인과 에페드린 혼합 의존 환자 1례
- 남자 알코올의존 환자에서 가족력에 따른 우울 및 공격성, 가족환경과의 관계
- 알코올 남용을 하는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특성
- 범법 알코올 중독 환자의 개인적 특성, 알코올 중독의 정도 및 단주교육이 병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알코올 의존 환자에서 신호 노출 치료의 빈도 차이가 음주 욕구의 감소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 물질남용과 정신병리와의 관계에 대한 고찰
- 직장인의 약물 및 알코올 사용에 대한 인구역학적 연구
- 알코올 중독자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 알코올의존 환자의 분노 양상과 분노가 음주 형태에 미치는 영향
- 호흡음주측정에서 Alco-Sensor Ⅳ와 Lion Alcolmeter SD-400P의 비교
- 트라마돌 의존 보고 1례
- 식사 장애와 탐닉성 장애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