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셰일가스 개발정보의 글로벌 동향분석
이용수 138
- 영문명
- Global Trends of Shale Gas Development Information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구영덕(Young Duk Koo) 김영인(Young-In Kim) 박관순(Kwan Soon Park)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47권 2호, 193~20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4.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셰일가스는 수평시추기술과 수압파쇄법의 개발로 상업적인 생산이 이루어지면서 가스시장의 판도를 바꾸었다. 셰일 가스가채매장량은 187.5조 m 3 로서 인류가 59년 사용가능한 매장량이지만 향후 더욱 증가할 수 있다. 셰일가스 생산은 미국에 이어 캐나다, 중국, 러시아 등 여러 나라에서 관심이 고조되어 미래의 주요 에너지원으로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적으로 셰일가스개발에 대한 학술논문도 증가하고 논문분석의 중요성이 다대하다. 검색된 논문(1986년~2013년 상반기)은 3,468편으로 최근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셰일가스를 연구를 하는 89개 국가 중 미국이 637편의 논문으로 1위를 기록했다. 세계적인 1,813개 기관에서 연구가 수행되고 있고 기관별 수준분석 결과 미 지질조사소가 질적 수준과 국제협력강도 분석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Shale gas has caused a change in the dynamics of gas market since development of horizontal drilling technic and hydraulic fracturing technic caused its commercial production. The commercial amount of shale gas is 187.5 trillions m 3 so human can use it for 59 years and the amount will increase in the future. Several nations such as USA, Canada, China and Russia have more and more interested in shale gas as a futuristic major energy source. In accordance with this trend in the world, the amount of studying theses for development of shale gas have increased so their theses became important increasingly. The number of searched theses (1986 ~ The first half of 2013) is 3,468 and has increased recently. Among 89 nations studying shale gas, USA has 637 theses as No.1 in the world.
1,813 global studying institutes have studied shale gas; in the analysis result of several studying institutes, US geo-logical survey institute was ranked as No.1 for the quality level of shale gas study and intensity of global cooperation.
목차
1. 서 언
2. 셰일가스자원 개발기술동향
3. 셰일가스 학술정보 분석
4. 결 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송 주왕산 페퍼라이트의 산출상태 및 형태학적 특징
- 충북 제천 NMC 몰랜드 광산의 관계 화성암에 대한 중력탐사
- 몽골 Olon Ovoot 금 광산에서 산출되는 탄산염광물의 산출상태 및 화학조성
- 전라남도 나주시 동강면 일대 황토(풍화잔류토)의 토양학적 및 광물학적 특성 연구
- GIS와 확률론적 해석 기법을 기반으로 한 평면파괴의 운동학적 안정성 해석
- 셰일가스 개발정보의 글로벌 동향분석
- 베트남 북부 네안성 칠레 희토류 산출지의 지구화학탐사
- 자연재해의 경제적 영향평가 연구방법론과 백두산화산재해에의 적용 가능성
- 우즈베키스탄 악토시티 금광화대 자원량 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특허 동향 분석
- 산불에 의한 지하수 토양 환경오염과 방사성 물질 분포 및 거동 영향 고찰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Middle Triassic Post-collisional Granitoid in the Western Gyeonggi Massif, Korea: Crustal Melting during the Permo-Triassic Orogenic Collapsing
- 산청-하동지역 회장암체와 회장암체 내 수반되는 Fe-Ti Oxide 광화작용에 관한 예비연구
- 활석 함유 화장품과 생활용품의 광물학적 특성과 석면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