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흥 마복산 부근에 분포하는 심성암류의 암석지구화학과 금함량
이용수 6
- 영문명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윤정한 김정빈 오근창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32권 6호, 585~59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9.12.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lutomic rocks of the Mabogsan, located in the southestern part of the Koheung Eup are composed of granite gneiss, diorite, biotite grantie and granophyre. On the basis of Rb-Ba-Sr diagram, the diorires are plotted from granodiorite to quartz diortie, the biotite granites from granodiortie to anomalous granite and the granophyres in normal granite filed. The plutonic rocks tend to show the I-type characteristics in terns of ACF diagram, K2O-Na2O diagram and Al2O3+Na2O+K2O+CaO diafram, while have values of ilmenite series in magnetic subseptibility. The plutons could have formed in the tectonic environment of VAG+COLG+ORG based on the silica vs. trace element diagrams. Gold contents with major and trace elements have been determined for 21 granophyres, 13 biotite granites and 4 diorites are; (1) for the diorite, the rangs is 0.508∼1.73 ppb with an average of 0.5ppb;(2) for the biotite granites, the range is 0.449∼13.5ppb with an average of 3 ppb;(3)for the granphyres, the range is 0.508∼23.1ppb with an average of 4.5ppb. The gold content of the studied plutons tends to increase from mafic to felsic rocks. Gold contents tend to show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ose of Ag and Zn,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ose of As, Ba and Rb. The copper contents of the plutons are comparatively high. Average copper contents of diorite, biotite granite and granophyre are 710ppm, 587ppm and 484ppm, respectively. The copper contents of the plutons tend to have good correlations with those of Ag, Bi and Pb.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소백산 육괴 중부 지역의 변성암에서 산출되는 중온형 금광산에 대한 유체포유물 및 안정동위원소 연구: -
- 터널내 구간별 지하수 유입량 산정방법: 유속계의 이용
- 석탄회를 이용한 제올라이트의 열수합성 학 회 지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지구 조석 중력계에 의한 지구의 자유진동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연천지역에 분포하는 화산암류에 대한 중력 및 자력 탐사 연구
- 공주제일광산 수계에 분포하는 지하수,지표수,토양 및 퇴적물의 환경지구화학적 특성과 중금속 오염
- 서울시 도로변의 빗물받이에서 채취한 하수슬러지의 중금속 오염 평가
- 영주저반의 관입상과 화성과정
- 약광물로서의 활용을 위한 활석에 대한 환경지화학적 연구
- 고흥 마복산 부근에 분포하는 심성암류의 암석지구화학과 금함량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특허 동향 분석
- 산불에 의한 지하수 토양 환경오염과 방사성 물질 분포 및 거동 영향 고찰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Middle Triassic Post-collisional Granitoid in the Western Gyeonggi Massif, Korea: Crustal Melting during the Permo-Triassic Orogenic Collapsing
- 산청-하동지역 회장암체와 회장암체 내 수반되는 Fe-Ti Oxide 광화작용에 관한 예비연구
- 활석 함유 화장품과 생활용품의 광물학적 특성과 석면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