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온경사 산출을 위한 효율적인 온도검층자료 이용 방법 연구
이용수 14
- 영문명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김형찬 송무영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32권 5호, 503~51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9.10.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fify a more effecive techique for calculating geothermal gradient. this study examines 370 data of temperature-logging having been collected since 1985. The daya are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grades grades according to the type of temperature-depth plots: 204 data show typical linear gradient (Grade A); 126 data do not explicitily show the gradient becase of various external effects such as water flow (Grade B); and the rest 40 data do not show the gradient at all (Grade D). The new technique for calculating geothermal gradient is to be required to use Greade-B data more effctiviely. This new technique includes (1) calculating the independer depth of atmospheric temperature in the earth; (2) drawing a distribution map of subsurface tempurature by using the distribution map of subsurface temperature by using Grade-A data at the independent depth; and (3) recalculating geothermal gradient of Grade-B data by using the distrbution map of subsurface temperature, borehole depth, and bottom temperature of Grade-B data by using the distribution map of subsurface temperature, borehole depth, and bottom temperature of Grade-B data. As a result, 330 data-both Grade-A and Grade-B data--can be used to draw a distribution map of hot spradient. The map clearly distinguishes anomaly areas, and helps interpret their relations to the distribution of hot springs, geology, geological structures, and geophysical anomaly areas. These new results reveal that the average of geothermal in south Korea is 25.6℃/km, when calculated to the Kriging method.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광주지역 일곡 매립지 주변에서의 하천수 및 지하수 오염 모니터링
- 구조지질학의 국제적 경향: Neustadt Conference
- 광물자원탐사 자료에 대한 데이터 통합과 그 응용사례
- 탄성파반사자료의 경사보정 연구
- 산전 금-은 광상에 관한 광물 및 지화학적 연구
- 현동 광산의 열수 안티모니 광화작용 : 지화학적 연구
- 한반도 남서부의 순창전단대 내에 분포하는 변성퇴적암류의 다변성작용
- 중원 지역 탄산수의 지구화학적 진화
- 경북 청송지역 달기 탄산약수의 지화학적 수질특성과 생성기원
- 남한의 주요 금속광상산 석영내의 유체포유물의 가스성분과 용존성분의 화학조성
- 지온경사 산출을 위한 효율적인 온도검층자료 이용 방법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특허 동향 분석
- 산불에 의한 지하수 토양 환경오염과 방사성 물질 분포 및 거동 영향 고찰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Middle Triassic Post-collisional Granitoid in the Western Gyeonggi Massif, Korea: Crustal Melting during the Permo-Triassic Orogenic Collapsing
- 산청-하동지역 회장암체와 회장암체 내 수반되는 Fe-Ti Oxide 광화작용에 관한 예비연구
- 활석 함유 화장품과 생활용품의 광물학적 특성과 석면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