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주도 동부 알칼리 현무암내 스피넬-레졸라이트 포획체의 연구
이용수 61
- 영문명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윤성효 고정선 안지영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31권 5호, 447~458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8.10.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spinel lherzolite of ultramafic xenoliths are found in the alkali basalt from eastern part of the Cehju island, Korea. The xenolith is are mainly composed of olivine, orthopyroxene, clinopyroxene and spinel. Based on the chemical conmpositions of the constituent minerals, the ultramafic xenolith belong to upper mantle peridotite. Each minerals have a protogranular texture. Olivine with kink band texture partly shows undulatory extinction. Some clinopyroxenes have spongy textured rims. Brown spinels occur in the interstices between olivine and pyroxene grains. Olivine is mostly forsterits (Fo89.90). Orthopyroxene is enstatite (Wo1.3En88.4Fs10.3) with 3.87∼5.25 wt% Al₂O₃. Clinopyroxenes is diopside (Wo48.0En46.2Fs5.8) with 6.75∼5.03 wt% Al₂O₃. Spinel has the Mg value of 75.9 and its cr-number is 10.2. According to the P-T estimations for the mantle xenoliths, equilibrium temperatures of the xenoliths range from 1023 to 1038℃ and pressure is 18 kbar, Spinel lherzolith from this area, which is characterized by lower Cr-number (10.2) and homogeneous chemical compositions, supports that these ultramafic xenoliths are derived from the upper mantle.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특허 동향 분석
- 산불에 의한 지하수 토양 환경오염과 방사성 물질 분포 및 거동 영향 고찰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Middle Triassic Post-collisional Granitoid in the Western Gyeonggi Massif, Korea: Crustal Melting during the Permo-Triassic Orogenic Collapsing
- 산청-하동지역 회장암체와 회장암체 내 수반되는 Fe-Ti Oxide 광화작용에 관한 예비연구
- 활석 함유 화장품과 생활용품의 광물학적 특성과 석면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