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ajor Molybdenum Mineralization and Igneous Activity, South Korea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최선규(Seon-Gyu Choi) 구민호(Min-Ho Koo) 강흥석(Heung-Suk Kang) 안용환(Yong Hwan Ahn)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44권 2호, 109~12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4.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국내 주요 몰리브덴 광상은 쥐라기 대보 조산운동기부터 후조산기인 백악기를 거쳐 제삼기까지 페그마이트형, 그라
이센형, 스카른형, 반암형, 광맥형 광상과 같은 다양한 광상 유형으로 배태되고 있다. 장수 몰리브덴 광산은 쥐라기 티
탄철석 계열 복운모 화강암과 관련된 페그마타이트 광상으로 배태되며, 광화 시기는 159.6±4.5 Ma이다. 금성 몰리브
덴 광산은 분화가 매우 진행된 화강암과 관련된 스카른형/반암형 광상으로 큐폴라 광체의 광화시기는 96.5~107.5 Ma
를 보이며, 황강리 광화대에 나타나는 후기 백악기 광화시기와 일치하고 있다. 연일 몰리브덴 광산은 반암형 광상으
로 배태되고, 금음 몰리브덴 광산은 전단대를 따라 충진하는 석영 세맥으로 배태되며, 광화 시기는 각각 58.4±1.6 Ma
과 54.4±1.2 Ma이다. 한국의 중생대 몰리브덴 광상은 조구조적 진화 특성에 따라 쥐라기에는 심부 화성활동을 반영
한 페그마타이트질 맥상 광상으로 산출되는 반면, 백악기에는 천부 화성활동과 관련된 스카른형/반암형/광맥형 광상으
로 배태된다. 특히 제삼기 몰리브덴 광화작용은 한반도 동해안을 따라 배태되는 제삼기 분지형성과 연계된 화성활동
과 밀접한 관계를 보이고 있다.
영문 초록
The major Mo deposits in South Korea were formed during the Jurassic Daebo orogeny, the Late Cretaceous and
the Tertiary post-orogenic igneous activities, and are characterized by a variety of genetic types such as pegmatite,
greisen, skarn, porphyry and vein types. The Jangsu mine is a pegmatite-style deposit which is genetically related to
the Jurassic ilmenite-series two-mica granite with the Mo mineralization age of 159.6±4.5 Ma. The Geumseong
mine occurs as a skarn/porphyry-style deposit associated with highly fractionated granite. Its age of Mo mineralization within aplitic cupola is about 96.5~107.5 Ma. The Yeonil mine is a porphyry-style deposit, and the Geumeum mine is a veinlet-style deposit along the fracture zone with their mineralization ages of 58.4±1.6 and 54.4±1.2 Ma, respectively.
The contrasts in the style of Mo mineralization in Korea reflect the different environment of the related magmatism.
The Jurassic mineralization, being related to deep-seated granitoids, occurs as a pegmatite-style deposit,
whereas the Cretaceous one, being related to subvolcanic granitoids, occurs as skarn/porphyry/vein-type ore deposits.
The Tertiary Mo mineralization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igneous activities associated with the Tertiary basin
formation along the east coast, Korean peninsular
목차
1. 서 언
2. 중생대 몰리브덴 광상 유형
3. 쥐라기 광화작용: 장수 지역
4. 백악기 광화작용: 제천-단양 지역
5. 제삼기 광화작용: 평해-연일 지역
6. 토의 및 결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석유생산 시스템에서 다상유동의 패턴 결정
- 대규모 열수변질작용에 따른 황산 화산암복합체의 지구화학적 변화특성
- 구조모델을 이용한 암석의 유효열전도도 분석
- Development of Multiphase Flow Simulator Using the Fractional Flow Based Approach for Wettability Dependent NAPL Migration
- 지리 공간 자료의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한 제주도 남측사면 용천수의 시기별 질산 성 질소 농도 예측
- 멕시코 치아파스주의 지질 및 금속 광물자원
- 2011년 지질자원분야 정부부처 R&D 정책 방향 분석
- 남한의 주요 몰리브덴 광화작용과 화성활동
-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조건에서 초임계이산화탄소와 염수 반응에 의한 Ca-사장석, 각섬석, 감람석의 지화학적 변화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2025년 정부 R&D 데이터를 활용한 지질자원 미래유망기술과 정부정책 연계 분석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동해 심해 가스전 탐사개발 사업에 대한 미디어 분석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한국연안방재학회지 제12권 제3호 목차
-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연안 설계 풍속 추정: 마라도 지역 사례 연구
- 어류 생태 및 수리 특성 기반의 최적 서식환경 조성을 위한 인공어초 설치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