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nual Groundwater System Change in Geum-gang Basin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김지은(Ji Eun Kim) 김태희(Tae-hee Kim)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44권 1호, 49~57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금강유역의 지하수계 내 물수지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지하수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유역의 2002년에서 2006
년까지 강우량, 하천 유출량, 증발산량 및 상수도 유입량, 댐 저류변화량을 산출하였고 이 값들을 바탕으로 유역 내
유출입량을 고려하여 금강유역 내 물수지 잔류량을 산정함으로써 년도 및 소 유역별 수자원의 분포 양상을 검토하였
다. 분석 결과 2003년에 가장 많은 강우량이 기록되었고, 2006년의 강우량이 가장 적었으며 강우량 대비 유출률은 5
개년 평균 60.44%로 산출되었다. 년도 별 증발산량은 큰 편차를 보이지 않았으나, 주로 금강 하류 지역에서 다량의
증발산이 산출되었다. 산정된 값들을 토대로 물수지를 분석한 결과 각 년도 별 유역 내 물수지 잔류량은 2002년
133.36, 2003년 77.64, 2004년 -19.40, 2005년 -82.25, 2006년 -128.07 mm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유역 내에 잔류
되어있는 수자원의 총량이 적어지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금강 유역 물수지 잔류량은 대체로 금강의 상류와 금강
본류인 공주 부근에서 많이 산출 되었고, 청주 인근의 미호천 유역과 논산이 위치한 금강 하류 유역으로 갈수록 유역
내 잔류량이 적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문 초록
Water budget analysis in the groundwater system was conducted in order to understand water budget distributions
in the ground water system in Geum-gang watershed. The annual amounts of precipitation, runoff, evapotranspiration,
dam storage change and water supply over the sub-watershed in Geum-gang watershed were evaluated the
residual groundwater from 2002 to 2006, based on the water budget considering inflow and outflow. Then we are
able to expect residual groundwater of each sub-basin. According to the result of study, the year 2003 and 2006
were recorded the highest and the lowest precipitation value, respectively. Average run-off percentage against precipitation was 60.44%. Annual evapotranspiration in each of years didn t show the remarkable variations but the
values were high in the lower reaches of the basin. The residual waters in Geum-gang basin were determined to be
133.36 in 2002, 77.64 in 2003, -19.40 in 2004, -82.25 in 2005 and -128.07 mm in 2006. The residual water in
Geum-gang basin was high in the main and up stream such as Maepo. Also the residual water showed low distributions in Nonsan and Seokhwa.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결 과
5. 토 의
6.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2025년 정부 R&D 데이터를 활용한 지질자원 미래유망기술과 정부정책 연계 분석
- 동해 심해 가스전 탐사개발 사업에 대한 미디어 분석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지구통계 역산해석 기법을 이용한 충적층 수리전도도 분포 추정 및 지하수 유동 경로 규명: 유계저수지 사례 연구
- 서울 안정사지 마애불·명문·약사불의 암석학적 특성과 손상도 평가
- Deriving Geotechnical Parameters for Foundation Design in Ea Trang, Vietnam, through Combined Seismic Method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