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양 용화광산의 광미 및 침출수의 광물학적 및 지화학적 특성 연구
이용수 11
- 영문명
- Studies on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Tailings and Leachate Water in Yonghwa Mine, Yeongyang Area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강한(Han-Kang) 김영훈(Young-Hun Kim) 장윤득(Yun-Deug Jang) 김정진(Jeong-Jin Kim)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45권 3호, 265~27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6.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용화광산의 광미와 침출수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여 광미로부터 부과될 수 있는 성분을 예측하고, 침출수가 주변하
천으로 유입될 때 오염물질의 거리에 따른 변화를 측정하였다. 하천수의 거리에 따른 변화는 갱내수와 침출수가 유출
되는 지점에는 대체로 높게 나타나고 하류로 갈수록 이온의 농도는 급격히 낮아진다. 이는 침출수에 비해 훨씬 유량
이 많은 비오염하천수에 의한 희석효과 때문이다. 광미는 붉은색과 노란색으로 구분되며 붉은색 광미의 주 구성광물
은 석영, 일라이트, 플럼보자로사이트와 약간의 섬아연석이며 노란색 광미는 백운모, 석영, 플럼보자로사이트
(Plumbojarosite) 그리고 소량의 황동석(Chalcopyrite)과 섬아연석(Sphalerite)을 포함하고 있다. 침출수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는 Pb, Zn 등은 광미에 포함된 플럼보자로사이트와 섬아연석의 용해작용에 의한 것으로 하천수의 오염에 주 원
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영문 초록
Current study includes the analysis of mine tailings and leachate water and prediction of species originated from
the tailings. The variation of contaminants were measured upon the distance from the tailings to the nearby stream.
The ions concentration was highest at the tailings and pit mouth and it becomes lower as it goes far away from the
origin. This is the reason that the leachate was diluted with the uncontaminated stream water. The tailings were
mainly classified into reddish one and yellow one. The main mineral of reddish tailings were quarts, illite, plumbojarosite and a small amount of sphalerite. The main mineral of yellow tailings were muscovite, quarts, plumbojarosite, and a small amount of chalcopyrite and sphalerite. Pb and Zn were found in the leachate in high
concentration and become the major contaminants. These come from the dissolution of plumbojarosite and sphalerite
contained in the mine tailings.
목차
1. 서 언
2. 연구 지역의 개요
3. 연구방법
4. 연구 결과
5. 토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리랑위성 2호의 삼축자력계로부터 관측된 지구자기장 모델 연구
- 지하수·토양오염 관련 기술의 성과지표 개발을 위한 사회비용 계량화
- 논토양 안정화 현장 실증 시험을 통한 납, 구리의 용출 저감 및 벼로의 식물전이 특성 규명
- 실내모형시험을 통한 OPC와 친환경 MIS 그라우트의 지반 침투성능 분석
- 지질자원 기술의 상업화 커뮤니케이션 전략 및 메시지 연구
- 추가령단층에 대해
- 동해 울릉분지의 가스 하이드레이트 산출형태와 퇴적물 특성의 관계
- 2012년 지질자원분야 정부부처 R&D 정책 방향 분석
- Sequence Stratigraphy of the Yeongweol Group (Cambrian-Ordovician), Taebaeksan Basin, Korea: Paleogeographic Implications
- 영양 용화광산의 광미 및 침출수의 광물학적 및 지화학적 특성 연구
- 도미분지 도미-1, 소라-1공의 층서와 고환경
- 신보광산 주변지역에서 변성광물의 성장과 변형작용 사이의 상대적인 시간관계:
- 캐나다 데본기 비투멘 탄산염암의 지화학적 특성 연구
- 부산광역시 일대의 토양 내 라돈 농도 변화 특성
- 기흥저수지 지역의 지반조사를 통한 신갈단층대 확인
- 2007년 봄철 대전지역에서 발생한 황사 및 대기부유물의 지구화학적 특성 및 중 금속의 오염도
- 미륵사지 석탑 축기부 토층의 조성분석을 통한 제작기법 해석
- 가곡 스카른 광상의 암석시료에 대한 광물특성과 광대역 유도분극 반응과의 관련성
- 지질자원기술 연구성과의 사회적 확산 분석 :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특허 동향 분석
- 산불에 의한 지하수 토양 환경오염과 방사성 물질 분포 및 거동 영향 고찰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한국연안방재학회지 제12권 제2호 목차
- 해안지역 홍수예측 및 위험관리를 위한 GIS-딥러닝 통합 시뮬레이션 체계 구축
- 서남해 인근 해역의 계절별 통항특성에 기반한 선박과 해상풍력발전단지의 안전이격거리 설정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