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메탄하이드레이트 개발동향
이용수 107
- 영문명
- The Status of Methane Hydrate Development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김영인(Young-In Kim)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46권 1호, 71~8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2.28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대부분의 GH는 전세계 해양퇴적물에서 대부분 산출되며 매장량은 1013~20×1015 m3로 현재 세계 에너지 사용량을
기준으로 근 1,000년에 해당하는 양이다. MH는 전통석유가스자원를 대체할 미래 천연가스자원으로써의 잠재력이 있
기 때문에 감압법, 화학첨가제 주입법, 열자극법, CO2-메탄 치환법 등 채굴기술개발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4
년까지는 시험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생산방법을 비교하고 GH의 분해에 따르는 반응이
복잡하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을 예측하는 기술과 효과적이고 환경 친화적인 가스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다.
영문 초록
Most gas hydrates (GH) occur in ocean sediments. Global GH reserves are estimated to be 1013~20×1015 m3,
which is nearly 1,000 times the amount of current world energy consumption. Methane hydrate (MH) has the
potential to be developed into future natural gas resources to replace traditional oil and gas resources, and thus MH
production technologies such as depressurization, inhibitor injection, thermal stimulation, and CO2-CH4 substitution
need to be further developed. MH production, which is expected to be in test production until 2014 in Korea, is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GH production technologies for use in the commercial production of methane gas.
This study compares MH production technology and its ability to meet the twin goals of being both effective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whil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complex phenomena of GH decomposition.
목차
1. 서 언
2. 주요 국가별 현황
3. 메탄하이드레이트 채굴기술
4. 국내 연구개발
5. 결 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침전법을 이용한 Thiourea 용출용액으로부터 Silver 회수
- 일라이트 폴리타입 정량분석법의 최적화
- OECD의 무대응 비용 관점에서 지하수 등 자연환경 재해의 간접사용가치 및 비사용가치 손상 비용 분석
- 김제시 간척지역 천부 지하수내 철 환원작용 특성에 대한 고찰
- 석유증진회수에 적합한 나노 에멀젼의 제조 및 필터링 시험 분석
- HCl-NaClO-FeCl3 용액을 이용한 저항성 황화광물 정광으로부터 금 용출 최적화
- 셰일가스 개발 시 적용되는 수압파쇄공법에 의한 환경문제
- 대화 Mo-W 열수 맥상 광상의 유체 진화 특성
- 메탄하이드레이트 개발동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특허 동향 분석
- 산불에 의한 지하수 토양 환경오염과 방사성 물질 분포 및 거동 영향 고찰
자연과학 > 지질학분야 NEW
- Middle Triassic Post-collisional Granitoid in the Western Gyeonggi Massif, Korea: Crustal Melting during the Permo-Triassic Orogenic Collapsing
- 산청-하동지역 회장암체와 회장암체 내 수반되는 Fe-Ti Oxide 광화작용에 관한 예비연구
- 활석 함유 화장품과 생활용품의 광물학적 특성과 석면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