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적자본에 대한 금융지원의 역사
이용수 58
- 영문명
- History of Financial Support for Human Capital with Emphasis on Student Aid Policy
- 발행기관
- 한국경영사학회
- 저자명
- 한병석(Byung-suk Han) 강형구(Hyoung-goo Kang)
- 간행물 정보
- 『경영사연구(경영사학)』제28집 제3호(통권67호), 45~79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인적자본은 매우 중요한 정책적, 학술적 과제이다. 우리는 이러한 중요한 주제를 정부의 학자금지원정책에 중점을 두고 연구하였다. 그리고 최초로 이를 金融史적인 관점에서 역사접근법을 채택하여 분석하였다. 경제성장을 위한 중심축이 물적자본에서 인적 자본으로 옮겨간 점을 고려해 볼 때 인적자본의 육성을 위한 학자금지원의 범위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대출 위주의 기존 채권형 학자금지원은 그간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환경에서 많은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학자금 지원 제도는 주식형과 같은 투자형으로 전개될 수밖에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투자형 학자금 지원이 본격화되기 위해서는 가치평가를 위한 정량적, 정성적 정보의 수집과 활용이 필요한데 이는 이미 다양한 정부기관에서 관리되고 있어 새로운 학자금지원제도가 등장할 수 있는 여건은 충분히 마련되어있다. 또한, 저금리, 저성장 시대를 극복하기 위해 투자자들은 전통적 투자수단을 대체할 대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으므로 투자형 학자금 지원은 실제로 도입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자금지원과 관련된 정책의 진행방향을 예측하는데 있으며, 이를 통해 실현가능성과 추진체계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는데 정책적 시사점이 있다.
영문 초록
We studied the history of financial support for human capital in Korea with emphasis on government student aid policy. We analyzed it for the first time from the financial perspective, adopting a historical approach. Given that the engine for economic growth has moved from physical capital to human capital, it is expected that the range of student aid for the promotion of human capital will expand. Even though the debt-focused student aid based on loans has much achievement, it has become to expose many limitations under the new financial environment. Therefore, the new student aid program is expected to evolve into equity-like contract. In order that equity-like student aid program cad be stepped up, the collection and utilization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of student information for valuation is required. Since various government agencies have already managed the information, circumstances for equity-like aid have been prepared enough. Facing years of low interest rates and growth, investors are actively seeking alternatives which will replace traditional investment methods. So equity-like student aid program is highly likely to be adopted in capital market. This study has policy implications in that it specifically predicted not only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student aid policy but also its realization and implementation.
목차
I. 서 론
II. 선행연구분석
III. 학자금지원정책의 역사
IV. 역사적 발전과정에서 본 미래의 학자금제도
V.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