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년후견과 신탁
이용수 304
- 영문명
- Adult Guardianship and Trusts : Seeking a new relationship
- 발행기관
- 한국가족법학회
- 저자명
- 제철웅(Je Cheol Ung)
- 간행물 정보
- 『가족법연구』家族法硏究 第31卷 2號, 1~36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7.31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s a study on legal systems, this article proposes to set up a new legal principle of the relation between adult guardianship and trusts, which is able to explain relevant social and legal phenomena, while it does not intend to explain social phenomena prevalent in the area of adult guardianship and trusts. This kind of studies should be based on research methods of social science and is intended to suggest a new social and legal rule to purposedly change social phenomena. In other words, policies and legislative measures suggested by the study are based on the proper methods of social science.
This article premises that Korean government including judiciary, as a ratifying state of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shall be obliged to improve the adult guardianship system to the direction of supported decision making schemes. Based on such an international obligation, this article suggests that trust schemes should be utilized on the way to the introduction and settlement of supported decision making system. To prove this suggestion, this article argues that adult guardianship system should be transformed to a supported decision making scheme, which UN Committee on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has urged ratifying states to develop on the basis of Article 12 of CRPD. As supported decision making schemes are evolving, some vacancy of property managements of persons with impairments to decision making abilities must take place, which, this article argues, can be filled by trusts. Whereas trusts has traditionally alternated the necessities of adult guardianship, this article argues that trusts should be placed in the center of the property managements of the persons with impairments to decision making disabilities; that, on the contrary, adult guardianship should be resorted to as supplements to trusts. For the purpose of managing property of those persons,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purpose of trusts should be to safely and continuously spend their property in accordance with their present and future needs of daily expenditure, care and medical treatments; that civil trusts would be much better positioned to meet such needs rather than commercial trusts run by financial institutions.
목차
Ⅰ. 문제제기
Ⅱ. 보통법국가에서의 후견과 신탁
Ⅲ. 대륙법계 국가의 후견과 신탁
Ⅳ. 후견제도의 성격변화와 신탁의 새로운 기능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가족법의 개정과 입법
- 부양적 기여분에 관한 적극적 해석
- 성년후견과 신탁
- 프랑스민법상 유류분권리자의 범위 및 유류분의 산정
- 혼인 안내 제도 도입을 위한 시론
- 수익자연속신탁과 Dead Hand Rule
- 임의후견에서 본인의 자기결정권과 법원의 감독
- 출산 경력의 불고지가 혼인취소 사유에 해당하는지 여부
- 재산분할 대상 및 그 가액의 산정기준시와 관련한 실무 동향과 일부 의문점
- 자녀양육신탁의 효용과 쟁점
- 민법 시행 전에 호주 아닌 기혼 장남이 직계비속없이 사망한 경우 재산상속에 관한 관습
- 기여분 인정에 고려할 요소에 관한 연구
- 日本における相続法改正をめぐる最近の動き
- 일본의 상속법 개정을 위한 최근의 동향
- 출생신고제도의 개선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