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ative Negligence in Joint and Several Liability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 저자명
- 이은영(Lee Eun-Young)
- 간행물 정보
- 『법학논문집』法學論文集 第41輯 第1號, 167~19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4.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M eanw hile, the Torts Law has focused on the protection of victim s. H ow ever, a reform bill about th joint and several liability, w hich elim inates or lim its a joint liability of tort from the perspective of tortfeasors is recently receiving the attention.
The optim al distribution of tortfeasors’ liabilities of a joint tort can be perform ed through the right to indemnity in internal relationship with victim s, and through the legal principle of com parative negligence in external relationship w ith victim s. In particular, if tortfeasors are certainly culpable for victim s, the distribution of their liabilities can be carried out through the rational m anagem ent of the com parative negligence.
The methods of comparative negligence in a joint and several liability are generally divided into an overall evaluation theory and an individual evaluation theory. The am ount of com pensation and joint and several liabilities varies depending on the methods taken. Both methods have strengths and weaknesses. In particular, the overall evaluation theory, w hich w as taken in precedents, has a problem that tortfeasors should bear liabilities of other tortfeasors’ contribution portion as well as his ow n portion, and that a risk of one tortfeasor’s insolvency can be imposed on other tortfeasors.
Com parative negligence can be influenced by the ideology, regulation system and contents of the Joint Tort Law in m any w ays. W hat is im portant in com parative negligence of a joint tort is w hat effect victim s’ negligence w ill have on a claim for dam ages to each tortfeasor, and how victim s’ negligence w ill be considered in the relation w ith m ultiple tortfeasors.
Accordingly, this study exam ined a com parative negligence system based on the legislations and interpretation theories for a joint and several liability in each country, and identified the drawbacks of this system .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공동불법행위에서 과실상계에 대한 이론적 논의
1. 기존 논의
2. 외국의 논의
3. 소결
Ⅲ. 우리나라의 판례 분석
1. 분석대상 판결
2. 분석 및 평가
Ⅳ. 공동불법행위에서 과실상계의 합리화 방안
1. 전제조건: 공동불법행위의 유형화
2. 공동불법행위의 유형에 따른 과실상계방법의 차별화
Ⅴ. 맺으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 디지털포렌식 절차에서 음란물 디지털 증거의 관련성과 문제점 - 대법원 2023도11395 판결을 중심으로
- 미성년 성폭력 피해자 진술분석 면담 영상녹화물의 증거능력에 관한 연구 - 미국의 대면권과 전문법칙 판례 변화를 중심으로
- ‘수사와 기소 분리’ 법률안에 대한 논의와 대안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