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대 孫溫이 그린 「전본 홍루몽」 화책의 서사 표현 방식
이용수 104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홍루몽연구회
- 저자명
- 서성(徐盛)
- 간행물 정보
- 『홍루아리랑』제3호, 27~32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소설 홍루몽 의 내용을 그린 ‘홍루화’(紅樓畵)는 1791년 처음 활자본(정갑본) 으로 간행될 때부터 24폭이 들어간 이래 그 형식이 삽화가 되었든 화책이 되었든 그 대다수는 수상식(繡像式)의 인물 소개로 되어 왔다. 서사적 내용을 직접 적으로 그린 작품도 드물게 나타났지만, 전면적으로 그린 것으로 주목할 만한 작품은 청대 말기 손온(孫溫)이 그린 전본 홍루몽 (全本紅樓夢)이다. 이 화책은 여러 방면에서 ‘홍루화’ 가운데 가장 높은 성취를 이룬다고 할 수 있다. 본고는 이 화책이 소설의 서사를 흥미롭고 다양한 방식으로 그리고 있는 점에 주목하고, 소설의 서사를 시각적인 회화로 전환시킨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영문 초록
목차
1. 화책 개요
2. 서사 표현 방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증파 홍학의 집대성과 발전
- 왕희봉을 위한 변명
- 홍루몽을 왜 읽어야 하는가?
- 제3호의 편집을 마치며
- 중국의 홍루몽 연구 기관
- 黃一農교수의 「曹霑畵冊」 재발굴에 대하여
- 王蒙 「紅樓啓示錄」
- 한국홍루몽연구회 학술대회
- 청대 孫溫이 그린 「전본 홍루몽」 화책의 서사 표현 방식
- 홍루몽 갑술본(脂硯齋重評石頭記) 강독회
- 王希廉 「新評繡像紅樓夢全傳」의 삽화
- 홍루몽 삽화 읽기 - 대관원은 어디인가?
- 吳鎬의 「紅樓夢散套」와 한국 소장본의 특징
- 韓國 紅樓夢 碩博士 學位論文 목록
- 우리를 위로하는 홍루몽
- 最近十年(2006-2016)日本紅學界動態(附帶⽬錄)
- 일본에서의 홍루몽 번역본에 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