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Fenton 산화를 이용한 김포매립지 침출수내 난분해성
이용수 10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moval of Refractory Organic Matter in Leachate sampled at Kimpo Landfill by means of Fenton Oxidation Process
- 발행기관
- 한국환경보건학회
- 저자명
- 정동환 조일형 김익수 한인규 정문호
- 간행물 정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제26권 제4호, 49~57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0.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the optimal condition to treat refractory organic matter which can’t treat clearly with biological treatment and to find the optimal division dosage and division dose timing in the modification of Fenton oxidation which is used resolve the problem that hydrogen peroxide is too expensive. The results are following; 1. The highest TOC removal efficiency was 41% and color removal efficiency was 64% when the dilution magnitude of leachate is fold. This suggests that dilution is efficiency when high concentration of leachate is treated. 2. The removal efficiency of TOC and color increased up to the molar ratio between ferrate and hydrogen peroxide was 1:1. However above that ratio, removal efficiency hardly increased. The highest removal efficiency of TOC and color were 38% and 71% when the mole ratio of ferrate to hydrogen peroxide was 1.5:1. 3. When the mole ratio between ferrate and hydrogen peroxide was fixed, the removal efficiency of TOC and color increased as the dosage of hydrogen peroxide increased. 4. pH of samples were adjusted at pH 3, 5, 7, 9, 11. After oxidation reaction, pH of samples were dropped to 2.59, 2.54, 5.34, 6.36 and 9.68. The highest color removal efficiency was 75.7% when initial pH was at pH 7. 5. The removal of TOC and color was ended within 10. min. and the removal efficiency increased logarithmically within 10min. However after 10 min., the removal efficiency of hardly increased. 6. The color removal efficiency was higher with modification of fentone oxidation than that with fentone oxidation by 5%. Optimal division dosage ratio was 1:1 and optimal dose timing ratio was 2:1. However the TOC removal efficiency was not higher with modification of Fenton oxidation than that with Fenton oxidation.7. The CODMn/BOD5 Ratio decreased with the time went by. It meant bioresolution increased as time went by. However, after 15 min., the CODMn /BOD5 Ratio did not decrease any more. 8. In the case of H2O2 Divisiom Dose experiment, the increase of bioresolution was highest at the H2O2 Division dosage Ratio of 3:7.3:7.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산호의 부영양화 평가를 위한 인부하모델의 검토
- Fenton 및 Photo-Fenton 산화공정을 이용한 염색 폐수의 처리에 관한 연구
- 해안폐기물매립지로부터 분리한 메탄생성균과 황산염 환원균의 Cd2+ 및 Cu2+에 대한 감수성 검토
- EROD-microbioassay에 의한 원천천 상류지역 수질조사
- Fenton 산화를 이용한 김포매립지 침출수내 난분해성
- 평일과 주말의 활동변화에 따른 대학생들의 이산화질소 노출
- 해조류중 흔적량 망간의 전열원자흡수 분광광도법 정량을 위한 매트릭스 개선에 관한 연구
- 세라믹 섬유 제조 및 가공 공정에서 발생된 공기중 섬유의 농도 및 크기 분포
- 실시간 교통량을 이용한 고속도로 요금소 대기요염도 예측
- 세포막 물질수송계의 조절에 의한 유기수은의 세포독성 변화에 대한 연구
- 하수중의 질소.인 제거를 위한 A2/O공정의 적용
- 생물학적 처리에 의한 돈사폐수의 인제거
- 가정용 정수시스템의 바이러스 제거
- 폐타이어 재 자원화를 위한 연구
- Nafion-EDTA가 수식된 유리탄소전극을 이용한 수은(II)의 측정
- 산성폐광폐수를 이용한 매립지 침출수의 응집처리
- 카드뮴에 폭로된 폐포된 폐포대식세포의 세포독성 평가를 위한 세포자계측정, LDH활성도 및 Apoptosis
- 군산지역 음용지하수 트리할로메탄(THMs) 생성에 관한 연구
- 청정지역과 도시지역에서 NO2 광분해율이 오존농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도시하수슬러지의 호기성 소화시 영양염류 용출에 관한 연구
- 다변량 통계분석법을 이용한 대구지역 부유분진의 오염원 기여도 추정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환경공학분야 BEST
- 한국 대학생의 통학방법과 학업 스트레스 사이의 연관성 -지속가능한 교통과 학업 환경-
- 미세플라스틱의 개념과 해양에서의 발생, 이동, 생물영향 및 관리대책
- 국내 청소년 및 어린이의 전동킥보드 이용에 따른 사고사례 분석
공학 > 환경공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