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상속세및증여세법상 혼성자본증권의 평가에 관한 연구

이용수  128

영문명
A Study on Valuation of Hybrid Equity Securities under Tax Law
발행기관
한국산업경영학회
저자명
윤재원(Jae Won Yoon)
간행물 정보
『경영연구』 第32卷 第1號, 161~18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2.28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11년에는 상법개정을 통해 주식의 형식을 갖되 채권성을 부가하는 종류주식의 발행이 가능해져 혼성자본증권의 실효성이 제고되었다. 본 연구는 혼성자본증권의 세무상 평가문제를 고찰하고그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리나라 상속세및증여세법(이하 ‘상증세법’이라 한다)은 비상장 혼성증권에 대한 명시적인 평가 규정을 두고 있지 않아, 과세표준의 계산규정이 불비한 상황이다. 행정해석은 혼성자본증권을 법적 형식에 따라 보통주와 동일한 보충적 평가방법으로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가장 기본적인 혼성자 본증권의 형태인 우선주의 실질은 고율의 배당액을 수취하는 것으로, 계속기업의 가정 하에서는 채권의 평가방식을 따르는 것이 이론적으로 더 타당하다. 또한 여기에 전환권 또는 상환권이 부여 되는 경우, 행사조건에 따라 옵션의 가치를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행 해석은 가치평가의 왜곡을 가져와 공정한 과세를 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상증세법상 혼성자본증권을 보통주와 구분하여 평가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 금융실무에서 인정되는 기법(미래배당 할인법 또는 옵션평가모형 등)을 통해 합리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한편, 상법개정 이후 발행된 비상장 혼성증권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혼성자본증권의 평가 기법이 아직 정착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이론적 연구와 실무적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혼성자본증권의 세법상 평가의 문제점을 심도 있게 제기하고, 관련 규정 및 이론을 폭넓게 검토하고, 사례분석을 실시하여 개선대안을 제시한 선도적 연구라는 면에서 공헌점이 있으 며, 실무적으로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In 2011, the amendment of the Commercial Code made it possible to issue a class of shares with characteristics of bond, thus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hybrid equity securiti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problem of valuation of hybrid equity securities under tax law by deeply examining related regulations and theories, conducting case studies,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improvement. The Gift Tax law does not have an explicit valuation rule for unlisted hybrid securities. IRS and tax court interpretation is based on the legal form of hybrid equity securities and is evaluated in the same way as the ordinary stocks. However, the features of the preferred stock is to receive a high rate of dividend instead of voting rights. Thus, it is theoretically more appropriate to follow the valuation method of the bond. If conversion rights or redemption rights are granted,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value of the options. I propose a methodology that can be used to evaluate the hybrid equity securities distinguishing from common stocks, and then allow to use the methods generally accepted in financial practice, such as future dividend discounting or option valuation models. This research is the leading-edge research that deeply analyzed the problems of the valuation for hybrid capital securities under tax law and has contributed to suggest policy points.

목차

I. 서 론
Ⅱ. 종류주식과 혼성증권에 대한 고찰
Ⅲ. 선행연구 및 제 규정의 검토
Ⅳ. 혼성자본증권의 평가
Ⅵ. 결론 : 상증세법상 혼성자본증권의 평가의 문제점 분석 및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재원(Jae Won Yoon). (2017).상속세및증여세법상 혼성자본증권의 평가에 관한 연구. 경영연구, 32 (1), 161-184

MLA

윤재원(Jae Won Yoon). "상속세및증여세법상 혼성자본증권의 평가에 관한 연구." 경영연구, 32.1(2017): 161-1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