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공눈물 점안 후 안구 표면 두께 간섭계를 이용한 눈물 지질층 두께의 변화 분석
이용수 127
- 영문명
- Evaluation of Changes in Tear Film Lipid Layer Thickness Using Ocular Surface Interferometer after Artificial Tear Application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서희(Seo Hee Kim) 박시윤(Si Yoon Park) 지용우(Yong Woo Ji) 서경률(Kyoung Yul Seo) 김응권(Eung Kweon Kim) 김태임(Tae im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7,number12, 1857~1865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농도 및 보존제 유무에 따른 히알루론산 나트륨제제의 인공누액 점안 후 LipiView?? II 간섭계(TearScience Inc., Morrisville, NC, USA)를 이용하여 눈물 지질층 두께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측정, 비교 분석함으로써, 인공눈물의 사용이 LipiView?? II 검사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건성안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모든 대상자에게 눈물막 파괴 시간 측정, 쉬르머 검사, 각막 및 결막형광염색 검사, 마이봄샘 기능부전 평가,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대상자를 난수표를 이용한 무작위 추출로 인공누액 종류에 따라 세 그룹(1군: 무보존제 0.1% 히알루론산 나트륨제제 인공눈물, 2군: 무보존제 0.3% 히알루론산 나트륨 인공눈물, 3군: 0.003% 염소 벤잘코니움을 포함하는 0.1% 히알루론산 나트륨제제 인공눈물)으로 나눠 각각의 인공눈물을 점안 전, 직후, 1, 3, 6시간 후의 눈물지칠층의 두께를 LipiView?? II 간섭계로 측정 후 비교 분석하였다. 안검염의 유무에 따라 두 군으로 나누어 눈물지칠층의 두께를 추가로 분석하였다.
결과: 눈물 지질층의 두께를 측정한 결과, 인공눈물제제를 점안하고 3시간 뒤 눈물 지질층의 두께 변화가 유의하게 나타났다(p=0.03). 제1군 및 2군에서 시간에 따른 눈물 지질층 두께의 변화가 유의하게 측정되었고(p<0.01, p<0.01), 제3군에서는 눈물 지질층 두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p=0.71). 환자를 안검염 그룹과 비안검염그룹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해 보았을 때, 비안검염 그룹에서는 인공눈물점안과 상관 없이 눈물지질층의 두께가 일정하였고(p=0.19), 안검염 그룹에서는 제1군과 2군에서 인공눈물 점안 후 시간 경과에 따라 눈물지질층 두께가 변화하였다(p<0.01, p=0.01). 안검염 그룹에서 제1군과 2군의 눈물 지질층의 두께를 비교하면, 인공눈물 점안 직후 및 1시간, 3시간 뒤까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4, p<0.01, p=0.02), 6시간째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제1군과 3군의 경우에는 시간별 차이가 없었다(p=0.08).
결론: LipiView?? II 간섭계를 이용해 측정한 눈물 지질층 두께는 인공눈물의 농도와 보존제의 유무에 따라서도 수치의 차이를 보였으며, 안검염의 유무에 따라서도 인공눈물 점안 후 눈물 지질층의 두께 변화 양상에 차이가 있었다. 이는 LipiView?? II 간섭계로 눈물 지질층을 측정하는 경우 인공눈물 종류와 관계없이 적어도 6시간의 점안을 금해야 하며, 또한 안검염이 있는 환자군과 보존제를 포함하는 인공눈물을 사용하는 환자에서 더욱 유의해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changes in tear film lipid layer thickness (LLT) after artificial tears application using LipiView??II interferometer were assessed.
Methods: We performed a prospective study of patients with dry eye disease. All subjects underwent measurement of tear film break-up time, Schirmer test, ocular surface staining, meibomian gland evaluation, and subjective score assessment using the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All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1 of 3 groups using table of random numbers (group 1, sodium hyaluronate [HA] 0.1% eye drops without preservatives; group 2, HA 0.3% eye drops without preservatives and group 3, HA 0.1% with benzalkonium chloride 0.003%). LLT was measured before, immediately after and 1 hr, 3 hrs, and 6 hrs after artificial tears application. Additionally,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2 subgroups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meibomian gland dysfunction (MGD) and further evaluated.
Results: Significant change in LLT was observed at 3 hrs after artificial tears instillation. LLT in groups 1 and 2 showed significant changes over time (p < 0.01 and p < 0.01, respectively). However, LLT in group 3 showed no change. LLT was unchanged in patients without MGD. Conversely, in MGD patient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LT between groups 1 and 2 was observed immediately after and 1 hr and 3 hrs after instillation of artificial tears (p = 0.04, p < 0.01 and p = 0.02, respectively) but not at 6 hr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LT between groups 1 and 3 was observed in MGD patients.
Conclusions: LLT after instillation of artificial tears measured using LipiView??II interferometer was affected by artificial tear concentration and presence of preservatives. Additionally, the presence of MGD can impact the pattern of LLT changes induced by artificial tear instillation. Therefore, LLT measurements using LipiView??II interferometer require at least a 6-hrs interval after use of eye drops, especially for patients with MGD or using artificial tears with preservatives.
목차
Abstract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망막중심정맥폐쇄에 동반된 황반부종에서 유리체강내 덱사메타손삽입물 치료의 1년 효과
- 항바이러스제 정맥주사 후 급성 신손상이 발생한 급성망막괴사 환자의 치료
- 단안시요법을 통한 인공수정체 삽입술의 1년 후 결과
- 퇴행 아래눈꺼풀속말림 환자에서 비흡수성 봉합사를 이용한 단속 매몰 봉합술의 장기적 효과
- 1% 프레드니솔론과 0.1% 브롬페낙 점안액의 백내장 수술 후 낭포황반부종 예방 효과 비교
- 안와주위에 발생한 결절근막염 3예
- 백내장수술 후 발생한 안와첨증후군
- 에탐부톨 복용 환자에서 정기적인 안과 검사 결과
- IRVAN 증후군 의심 환자에서 반복적으로 실시한 유리체강내 덱사메타손 임플란트 주입술 1예
- 양안 눈물흘림을 주소로 내원한 손발가락결손증-외배엽형성이상-구순구개열 증후군 1예
- 사시수술 후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한 눈물띠의 변화 분석
- 광역학치료와 베바시주맙을 이용한 특발 중심와부근 모세혈관확장증 I형의 치료
- 사이클로스포린 A 0.05% 투여군 간 안전성 및 유효성을 비교평가하기 위한 제3상 임상시험
- 말벌침에 의한 안구 손상의 예후: 증례보고
- 간접외상 이후에 발생한 급성 황반 신경망막병증 1예
- 노안환자에서 비구면 미세단안시 라식수술 및 단안시 굴절수술의 임상결과 비교
- 당뇨황반부종에서 베바시주맙 단독요법군과 베바시주맙-후테논낭하트리암시놀론 병합요법군 간의 치료효과 비교
- 인공눈물 점안 후 안구 표면 두께 간섭계를 이용한 눈물 지질층 두께의 변화 분석
- 망막분지정맥폐쇄로 인한 황반부종에서 과거 베바시주맙 치료 반응도에 따른 덱사메타손 삽입물의 효과 비교
- 재발 군날개 치료에 있어서 하측 구결막피판회전술의 치료 효과
- 20프리즘디옵터 간헐외사시의 한눈 또는 두눈 외직근후전술 후 외편위로의 회귀 양상
- 일체형과 삼체형 인공수정체 삽입 시 도수 산출 공식 간의 술 후 굴절 예측의 정확성 비교
- 메틸브로마이드 유발 독성 시신경병증 1예
- 플라시도원반 방식의 비디오각막경을 이용한 각막곡률 및 난시측정과 기존의 각막곡률계와의 비교
- 성상유리체증이 있는 환자에서 야그레이저후낭절개술 후 발생한 실리콘 인공수정체 후면의 혼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