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Reliability Analysis of Embankment Reflecting Spatial Variability of Soil Parameters
이용수 5
- 영문명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Dong Wook Kim Ki Cheol Lee Jin Ho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2 No.10, 149~158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0.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제방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결정론적인 해석과 신뢰성 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 대상인 제방은 경상북도 고령지역에 존재하는 제방으로 해석을 위해 필요한 제방 형상과 지반 물성치는 상세지반조사 결과에 근거하여 결정하였다. 제방의 활동 모멘트와 저항 모멘트는 Bishop simplified method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제방의 신뢰성 분석을 위하여, 균질하다고 가정할 수 있는 영역 내에서의 지반 정수의 공간적인 변동성을 재현하기 위하여 Gaussian random field 이론을 적용하였다. 제방
주변에 수위가 낮을 경우에는 결정론적인 방법으로 계산한 제방 안전율은 설계기준에 제시된 최소안전율보다 크게 평가되었고, 신뢰성 분석을 통하여 평가된 잠재된 제방 파괴확률은 목표 기준보다낮아 안전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하지만 수위가 올라가면 제방 안전율은 떨어지고 제방의 파괴확률도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e evaluation of embankment stability was performed based on the results from a conventional deterministic
analysis and a reliability analysis. The embankment used in the analyses was selected from real sites located
at Goryeong area in South Korea. The Bishop simplified method was implemented to calculate driving and
resistance moments of the embankment. In the reliability-based design, Gaussian random field theory was
used to account for spatial variabilities of soil properties. The results show that the calculated factors of
safety (FS) from the conventional deterministic analyses exceeded the minimum FS proposed in design
codes. Also, the random field-based reliability analyses revealed that the probability of embankment failure
assuming no water table was much lower than the lower bound of the proposed target probability of failure.
However, under increasing levels of water table, FS drops and the probability of failure increases significantly.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Government Trust and Policy Response
- Future Directions of Research on Crisis Management Using Big Data
- A Study on Risk Factors of Elderly Suicide in Korea
- Can Globalization Cause the Fiscal Crisis?
- An Analysis of the Contents of Safety Education Based on Korean Age-specific Safety Education Map (KASEM)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Quartz Porphyry for Tap Water Safety
-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Daily Life Satisfaction among Elderly with Disability by Degree of Disability
- A Numerical Model for Evaluation of Structural Stability of Void in the Buried Area
- Exploring the Limitations of the System on Commander of the Workplace Reserve Forces in Korea
- The Policy Effects of Legal and Institutional Reforms in Rural Areas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 Reliability Analysis of Embankment Reflecting Spatial Variability of Soil Parameters
- Crisisonomy VOL. 12 No. 10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