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ies on Assistive Personnels in a Legal Procedure Under Law of United Kingdom
- 발행기관
- 한국가족법학회
- 저자명
- 이혜리(Lee Hye Ri)
- 간행물 정보
- 『가족법연구』家族法硏究 第30卷 3號, 53~8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1.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n 2016.2.3. the Korean Civil Procedure Act has been modified. According to modified Civil Procedure Act art. 55(1), a minor, a quasi-incompetent person, or an incompetent person may conduct procedural acts only through his/her legal representative: Provided, that the same shall not apply to cases where a minor or a quasi-incompetent person is able to independently conduct procedural acts. Although the act granted the ability to sue to a minor, a quasi-incompetent person, or an incompetent person, however, they may have a hard time to proceed the lawsuit since their physical and mental capacity is challenged. Therefore, the article 143-2 allows a person, who is mentally or physically challenged to state words necessary to carry on the legal case, to appoint an assistive personnel for appearing at the court. However, the act is silent on the rights, duties, and qualifications of the assistant.
This paper has reviewed different types of assistive personnels in a law suits or matters related to law under United Kingdom law since it has recently passed the Mental Capacity Act 2005. There are assistive personnels in legal cases and matters such as a litigation friend, an intermediary, independent mental capacity advocate, and so forth. Among these, the intermediary seems similar to an assistive personnel under the article 143-2 of Civil Procedure Act because it is to help a witness in communication at the court. However, an intermediary under UK law is mainly for child victims for sexual crimes. So it seems that further study is necessary to make a regulation for the rights, duties, and qualifications of an assistive personnel under 143-2 of Civil Procedure Act.
                    목차
Ⅰ. 서론
	                       
	                          Ⅱ. 영국 제도의 개관
	                       
	                          Ⅲ. 재판절차에서의 피후견인 보호를 위한 제도
	                       
	                          Ⅳ. 진술능력 부족집단 보호를 위한 기타 제도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 [스페인]검찰의 구형보다 중한 형을 선고한 판결에 대한 재판소원–헌법소원의 적법요건으로서 ‘특별한 헌법적 중요성’
- [미국]차별사건에서 다수집단에 속하는 청구인에게 추가적인 입증책임이 부과되는지 여부
- [독일]독일 내 미군기지에 예멘 공격 드론을 배치한 것이 예멘인에 대한 독일의 기본권보호의무를 위반한 것인지 여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