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Weather Effects on Pediatric Status Epilepticus Patients Visiting the Emergency Room
- 발행기관
- 대한소아신경학회
- 저자명
- 박수진(Su Jin Park) 김영선(Yeong Sun Kim) 진미현(Mi Hyeon Jin) 최서희(Seo Heui Choi) 김성훈(Sung Hoon Kim) 이주석(Ju Suk Lee) 김철홍(Cheol Hong Kim) 이준화(Jun Hwa Lee)
- 간행물 정보
- 『Annals of Child Neurology(구 대한소아신경학회지)』대한소아신경학회지 제24권 제3호, 109~115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소아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응급실로 내원하는 소아청소년 뇌전증지속증(Status epilepticus)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과 임상 결과를 조사하고, 아울러 이 환자들이 응급실로 내원하는 빈도와 날씨와의 연관성이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방법: 2005년 1월부터 2016년 6월까지 삼성창원병원 응급실로 내원한 뇌전증지속증환자 중 만 19세 미만의 소아청소년 환자 81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지를 통해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소아청소년 뇌전증지속증 환자의 원인, 발작 지속 기간, 발작 형태, 사용한 항뇌전증 약물 수 및 임상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령에 따른 그룹에서 임상적인 특징이 차이가 나는지 Kruskal-Wallis 검정을 이용하여 비교하고 날씨와 뇌전증지속증 환자의 응급실 방문과 연관성이 있는지에 대해 Chi-square 검정과 Mann-Whitney U 검정을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창원시의 19세 미만 소아청소년 뇌전증지속증 환자의 10만명 당 연간 발생률은 최소 2.9명으로 추정되었다. 81명의 환자 중 48명(59.3%)은 난치성 간질지속증 환자였다. 7세 이하에서는 열성 뇌전증지속증이 가장 흔한 원인이었고, 7세 이상에서는 특발성 뇌전증지속증이 가장 흔한 원인이었다. 전신형 발작(88.9%)이 가장 흔한 발작 형태였고, 사망률은 4.9%, 신경학적 후유증이 새로 생긴 경우는 3.7%였다. 날씨와 간질지속증의 연관성 분석 결과, 가을에 뇌전증지속증으로 환자가 내원한 날이 그렇지 않은 날에 비해 기압이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 소아청소년 뇌전증지속증 환자는 2-6세군에서 전신형 발작형태가 가장많았으며, 이전에 알려진 연구와 비교할 때 난치성 뇌전증지속증은 높은 비율을 보였고, 새로 생긴 신경학적 후유증의 발생률은 낮았다. 또한, 날씨 중에서도 기압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of pediatric status epilepticus (SE) patients visiting the emergency room and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pediatric SE and the weather factors.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81 pediatric (<19 years of age) SE patients visiting the emergency room (ER) of Samsung Changwon Hospital from January 2005 to June 2016. We analyzed clin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etiology, duration of seizure, seizure type, use and number of antiepileptic drugs, and outcomes on visiting the ER in pediatric SE patients.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pediatric SE and weather factor such as temperature (℃), diurnal temperature range (DTR) (℃), and atmospheric pressure (AP) (hPa).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were the Chi-square test and Mann-Whitney U test.
Results: We estimated that the annual incidence of pediatric SE in Changwon City is at least 2.9 per 100,000 children per year. Febrile SE was the most common etiology for patients under 7 years and idiopathic SE was the most common etiology in patients over 7 years. The most common type of seizure was generalized convulsive type (88.9%). The mortality rate was 4.9% and new neurological sequelae occurred in 3.7% of cases. Additionally average AP and minimum AP on present SE day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no SE day.
Conclusion: Our study indicates that there was a high rate of refractory SE and a lower rate of new neurologic sequelae than previously reported. Also we found significant relationship observed between pediatric SE and AP especially average AP and minimum AP.
목차
Abstract
Introduction
Materials and Methods
Results
Discussion
Acknowledgments
요약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소아 뇌전증 환자에서 장기적인 토피라메이트 치료가 산염기 평형에 미치는 영향
- 미토콘드리아 호흡연쇄 복합체 결함이 동반된 난치성 소아 뇌전증에서의 Zonisamide 부가 요법
- 소아 뇌전증 환자에서 항경련제 치료 후 재발의 위험인자
- X 연관 부신백질이영양증의 분류, 진단 및 치료의 최신 지견
- 열성경련 환자에서 혈액 내 interleukin-1β와 interleukin-1 receptor antagonist 분석
- 백질 손상이 확인된 만삭 신생아 뇌병증에서 로타바이러스 감염과의 연관성
- 일측성 감각 신경성 난청과 내이도 협착을 동반한 안면 신경마비를 보이는 일란성 쌍생아
- 응급실을 방문한 소아청소년 뇌전증지속증 환자의 임상적 특징 및 날씨와의 관계
- 인플루엔자B 바이러스 감염 후 발생한 단독 동안신경마비 1례
- 심한 주간졸림증을 동반한 소아청소년의 수면장애
- 한국 소아청소년 기면증의 임상양상 및 수면다원검사의 특징
- 유아 스마트기기 사용 및 이용수준 현황
- 소아 급성 뇌염에서 응급실 방문 첫 24시간 이내 추정 가능한 예후인자
- 댄디 워커 증후군이 동반된 증후성 신경피부멜라닌증
- 소아 편두통의 우울 및 불안성향
- 소아에서의 하시모토 뇌병증 2례
- 노로바이러스 및 로타바이러스 위장염과 동반된 양성경련의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소아과학분야 BEST
- 수면시간이 청소년들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
- 미디어 노출이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 언어 발달 지연아에서 한국형 영유아 발달 검사와 취학 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 척도, 영유아 언어발달검사의 비교 분석
의약학 > 소아과학분야 NEW
- Annals of Child Neurology(구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33 no.3 Contents
- Ending the Diagnostic Odyssey: Making Whole-Exome/Genome Sequencing the First-Line Test for Global Developmental Delay
- A Rare Case of Epileptic Encephalopathy Caused by X-Linked ALG13 Gene Mutation in a 6-Year-Old Girl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