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진로선택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이용수  1,289

영문명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Career Choice Decision of College Students
발행기관
글로벌경영학회
저자명
박은정(Park, Eun-Jung) 오인하(Oh, In-ha)
간행물 정보
『글로벌경영학회지』글로벌경영학회지 제12권 제2호, 21~4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직업훈련만족도가 진로선택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를 위해 문헌고찰과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분석을 병행하였고, 이에 따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교육 품질만족, 과정만족 그리고 전공선택동기와 직업가치관의 관계에서 직업교육 품질만족, 과정만족, 전공선택동기가 내재적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은 직업교육 교육 컨텐츠가 좋고 전공선택이 개인적 동기일 때 직업에 대한 내재적 가치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 났다. 한편, 직업교육 품질만족, 과정만족, 전공선택동기가 외재적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은 교육컨 텐츠가 좋을수록 직업에 대한 외재적 가치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교육 품질만 족, 과정만족, 전공선택동기가 직업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직업교육 컨텐츠가 좋고 교육시설 및 수업환경 만족도가 좋으며 전공선택의 개인적 동기가 높을수록 진로교육 만족 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가치관과 교육만족도 그리고 진로선택의 관계에서 직업가치관과 교육만족도가 적성 및 흥미에 미치는 영향은 외재적 가치관이 높을수록 적성 및 흥미는 높아졌으며, 교육 만족도가 높을수록 적성 및 흥미에 맞는 직업을 찾는 경향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가치관과 교육만족도가 적성 및 흥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내재적 가치관이 높을수록 전공과 일치하는 직업을 찾길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직업가 치관과 교육만족도가 직업장래성에 미치는 영향은 직업의 내재적 가치관과 외재적 가치관이 높을 수록, 교육만족도가 높을수록 직업장래성이 높은 직업을 찾길 희망하였다. 그리고 직업가치관과 교육만족도가 직업경제성에 미치는 영향은 직업가치관 외재적 가치관과 교육만족도가 높을수록 직업경제성이 좋은 직업을 찾길 희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직업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대학생들의 진로선택결정 역시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진로 선택이나 취업준비 프로그램에 대한 양질의 교육서비스 제공은 대학생들이 적합한 일자리를 탐색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만족스러운 일자리를 얻는데 기여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proceeded to analyze the influences of college students’ job training satisfaction upon their decision of career choice. For the study, we performed an analysi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questionnaire survey together. First, in the relation job education quality satisfaction, process satisfaction and major choice motive and job values, it appeared that as for the influences of job education quality satisfaction, quality satisfaction, process satisfaction, major choice motive upon inherent values, inherent values as to the occupation got higher when job education contents are good and major choice is a personal motive. Whereas, it appeared that as for the influences of job education quality satisfaction, process satisfaction, major choice motive upon external values, external values as to occupation got higher as educational contents were higher. Second, as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influences of job education quality satisfaction, process satisfaction, major choice motive upon job education satisfaction, as job education contents were better and educational facilities and class environment satisfaction were better and the personal motive of major choice were higher, career education satisfaction got higher. Third, in the relation of job values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areer choice, it appeared that as for the influences of job values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upon aptitude and interest, it appeared that the higher external values were, the higher aptitude and interest got, and the higher educational satisfaction was, the lower the tendency to search the job fitted for aptitude and interest got. As the results of regressive analysis on the influences of job values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upon aptitude and interest, it was surveyed that as inherent values were high, students desired to the job according with the major. Whereas, as for the influences of job values and education satisfaction upon job future, as internal values of job and external values were higher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was higher, students desired to search for the job of high job future prospect. And in the influences of job values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upon job economic feasibility, as job values and external values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were higher, students desired to search for good job economic feasibility. Based on these results of analysis, it was examined that as the satisfaction as to job education was higher, students got a positive effect also in the decision of career choice. Especially the provision of a good education service for career choice or job preparation program can contribute to college students’ efforts to explore a appropriate job and get a satisfactory job.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은정(Park, Eun-Jung),오인하(Oh, In-ha). (2015).대학생의 진로선택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글로벌경영학회지, 12 (2), 21-46

MLA

박은정(Park, Eun-Jung),오인하(Oh, In-ha). "대학생의 진로선택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글로벌경영학회지, 12.2(2015): 21-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