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코스닥 벤처기업의 기업가치평가에 관한 연구
이용수 124
- 영문명
- A Study on the Valuation of KOSDAQ Listed Company
- 발행기관
- 글로벌경영학회
- 저자명
- 전영승(Cheon, Young-Seong) 정진향(Jung, Jin-Hyang) 홍지윤(Hong, Ji-Yoon)
- 간행물 정보
- 『글로벌경영학회지』국제경상교육연구 제2권 제1호, 217~23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3.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벤처기업에 포함되어 있는 초창기 성장 기업이나 인터넷 기업과 같은 IT기업의 경우 기존의 기업들과는 다른 현금흐름구조와 위험구조를 가지고 있어 가치평가에 이용할 수 있는 재무정보가 상이할 수 있음에 착안하여, 코스닥 벤처기업의 경우 당기순이익보다 매출총이익, 연구개발비와 광고 선전비가 기업가치 설명력이 더 높을 것임을 실증분석 한 것이다. 벤처기업은 기업의 특성상 과거에 시도된 적이 없는 사업을 하는 경우가 많아서 미래수익성을 정확히 예측하기가 어렵고, 연구개발비나 광고 선전비 같은 항목의 비중이 크기 때문에 당기순이익보다는 당기순이익을 결정짓는 그 구성항목들이 기업의 가치를 설명하는데 더 크게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실증 분석결과, 코스닥 벤처기업에서는 당기순이익을 기업 가치평가에 이용하였을 때의 모형의 설명력보다, 매출총이익과 광고 선전비 연구개발비로 구분한 모형의 설명력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미래의 불확실성이 높으며 고수익, 고성장을 향한 신기술, 신개발 중심의 코스닥 벤처기업에서는 활발한 연구개발투자지출액이 기업 가치를 잘 설명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코스닥벤처기업에서는 미래 영업성과를 적절히 반영하기 위해서는 당기순이익보다는 그 구성항목들을 이용하는 것이 더 적절한 평가법이라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business and academic world have recently raised a number of questions following the rapid growth of KOSDAQ market. The question is whether the potentiality of venture business has been overvalued excessively then common enterprises, i.e. so-called the theory of stock price bubble. In addition, it is the rise of a necessity of a significant valuation appropriatel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nture companies by those involving the
business for an objectiv and adequate decision-making.
This paper empirically examines whether the explanatory power between the Ohlson model and alternative equity valuation models, can depend on the characteristics of venture and non-venture firm. We do not find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bottom-line net income and our sample firms market prices, consistent with the claim made by some investors that financial statement information is of vary limited use in the valuation of KOSDAQ venture
stocks. However, when we decompose net income into its components, we find that gross profits are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rices.
The KOSDAQ listed corporations that announced its Statement of accounts at last December were selected as samples, excluding financial business field and the Issues for administration. Total 2,295 samples through 4 years(1999 ~ 2002) were u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가설의 설정과 연구방법
Ⅳ. 표본의 선정과 주요변수의 기술적 통계
Ⅴ. 실증결과분석
Ⅵ. 결 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