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쿠로시오(黑潮)와 남해안지방 신석기문화
이용수 399
- 영문명
- Kurosio and Neolithic Age Culture at South Coastal Area
- 발행기관
- 한국신석기학회
- 저자명
- 김건수(Kim Geon Su)
- 간행물 정보
- 『한국신석기연구』제 21호, 85~10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7.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나라는 년중 난류인 쿠로시오의 영향을 받는다. 남해안에는 다수의 패총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들의 입지역은 기온의 차이를 보이는 위도와는 관계없이 쿠로시오의 영향이 미치는 정도에 따라서 위치한다. 신석기시대 조·전기에는 쿠로시오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곳에 패총이 위치하며, 이곳에서는 작살과 결합식낚시를 이용하여 참돔, 다랑어, 상어 등과 강치, 돌고래 등을 포획하였다. 더불어서 일본 구주지방의 흑요석, 죠몬토기 등도 출토되어 쿠로시오를 통한 양지역의 교류도 활발히 일어났음을 볼 수 있다. 중기 이후에는 쿠로시오 영향이 덜 미치는 육지쪽에 위치하며 어로도구도 급감하여 어로활동이 쇠퇴하였음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Korea is under influence of warmth of Kurosio Current around the year. There are number of shell-mounds on the southern coast of the peninsula, which are positioned depending on the current and regardless of the latitude. In the early former period of the Neolithic age, the shell-mounds were located at the places under strong influence of the Current where red sea-beam, tuna, shark, sea lion, and dolphin were captured using harpoons and two-piece hooks. Also, obsidianandJomon pottery from Kyushu province have been foundthat it shows vigorous interchanges between the two regions. After the middle period, they were located inlands where the Current gives less influence and it shows fishing activities declined with much fewer fishing tools.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남해안지방 신석기시대 패총의 분포
Ⅲ. 쿠로시오와 남해안 패총의 특징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4세기 후반~5세기 전반 백제의 지배구조와 왕위계승 갈등의 반복 배경
- 고구려 패망과정의 위기관리 연구 - 보장왕 시대의 나당의 간접전략과 고구려의 국력요소를 중심으로
- 『삼국지』 동이전에 기술된 ‘禮’의 의미와 양상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