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상황신학 전망에서의 하느님 이해 문제에 관한 성찰

이용수  161

영문명
A Reflection on the Question of God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xtual Theology
발행기관
신학과사상학회
저자명
정희완 신부(Prof. Fr. Heewan Jeong)
간행물 정보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No.77, 207~254쪽, 전체 4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30
8,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대 신론은 여러 가지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종교와 종교적 신앙의 역할을 약화시키는 세속주의, 하느님 존재를 부인하는 무신론과 인간 인식의 한계를 넘어서는 초월적 존재에 대한 불가지론적 태도의 확장과 생의 모든 의미를 물질적 성취와 욕망의 실현에 두는 물질적 쾌락주의의 성행은 신에 대한 관심에서 사람들을 멀어지게 한다. 또한 형이상학적 사유에 기초한 그리스도교 전통의 하느님 담론들은 전혀 사람들에게 어필하지 못하고 있다. 하느님에 대한 담론들을 전개함에 있어서 새로운 방식과 형식이 요청된다. 이러한 도전들에 맞서 현대 그리스도교 철학자들과 신학자들은 탈형이상학적 관점에서 하느님에 대한 담론들을 구성하려 한다. 그들은 신론을 전개함에 있어서 이성을 중시하는 전통 신학의 방식에 서 벗어나 감정과 경험의 차원을 강조한다. 또한 그들은 하느님을 표현함에 있어서 추상적이고 현학적인 개념을 사용하기보다는 구체적이고 역사적인 언어를 사용한다. 즉, 종교 언어의 은유적, 유비적, 상징적 특성을 강조한다. 한편으로 현대 그리스도교 철학자들과 신학자들은 하느님 존재자체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하느님 정체성을 더 강조한다. 그들은 하느님의 무력함 혹은 겸손함을 강조한다. 이들에게 하느님은 전통신학이 묘사하는 전지전능하고 초월적인 하느님이 아니다. 하느님은 말로 형언할 수 없는 신비이며 약한 하느님이다. 또한 하느님은 숨어 있는 하느님이며 동시에 계시하는 하느님이다. 더 나아가 이들은 전통적인 하느님 이미지들 안에는 많은 이데올로기의 왜곡이 숨어있다고 비판한다. 따라서 이들은 이 시대의 요청에 부응하는 하느님에 대한 새로운 이미지를 찾으려 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오늘 우리의 상황에서 하느님을 어떻게 생각하고 말할 것인가? 우리는 어떤 하느님을 고백할 것인가? 즉, 하느님의 어떤 특성을 우리는 강조할 것인가? 이 질문들에 응답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상황들을 분석해야 한다. 그런데 아직 우리는 우리의 상황들을 제대로 분석하지 못했고, 당연히 하느님에 대한 우리 자신들의 담론을 형성하지 못하고 있다. 여전한 숙제다.

영문 초록

Contemporary Theology of God faces many challenges. Secularism, which means the retreat of religion from the public space and the decline in religious belief, atheism that denies the existence of God, agnosticism, which focuses on the impossibility of knowledge of God, and materialistic hedonism, which stresses the pursuit of materialistic achievement and the realization of desires, have made people far away from the concern for God. The traditional theological discourses about God, which was mainly based upon metaphysical thoughts, are becoming irrelevant to contemporary thoughtful people. This new awareness of the conditions of God-talk calls for a new understanding of God in a different way. In response, contemporary Christian philosophers and theologians try to construct in a new way their discourses about God from the perspective of post-metaphysics. They stress not only reason but also emotion in their doing theology. They try to recover experience as an integral element in doing theology and stress the centrality of experience in understanding God. They focus on the limitation of human language for describing God, and are concerned with the metaphorical, analogical, symbolical characteristic of religious language. Contemporary Christian philosophers and theologians focus not on the existence of God but on the identity of God. They stress God’s powerlessness or kenosis. They reject a sovereign God in favor of a suffering God. God is not the immutable, all-powerful, completed perfection Christianity has often worshipped. God is an ineffable mystery, weak God, and the hidden-revealed God of history. They attempt to think in a new way about and imagine God in the face of ideological distortions of the image of God. It is the healthy role of critical theology to free the distorted images of God. And then, how do we speak about God in our context? What attribute of God do we stress in our context? To answer the questions, first of all we have to analyze our contexts. But until now we do not analyze properly our contexts, and we do not have our own theology to perform the task. The questions are still in progress.

목차

Introduction: Many Ways of Thinking about God
1. Problems with God in Current Postmodern Culture
1.1. Postmodern Condition: God-Talk Seems to Be Meaningless and Impossible
1.2. The Centrality of Experience in Understanding God
1.3. How to Speak of God Intelligibly and Credibly?
2. Postmodern Theological Understandings of God
2.1. The Renewed Questions about God: John D. Caputo and Richard Kearney
2.2. Postmodern Forms for Naming and Thinking God: David Tracy
2.3. The Right Way to Speak about God: Elizabeth Johnson
3. How Do We Speak about the Living God in Our Context?
3.1. Contextualization of Theology and the Concept of God
3.2. What Characteristic (or Attribute) of God Do We Focus on?
Conclusion: Some Fragmented Thought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희완 신부(Prof. Fr. Heewan Jeong). (2016).상황신학 전망에서의 하느님 이해 문제에 관한 성찰.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77), 207-254

MLA

정희완 신부(Prof. Fr. Heewan Jeong). "상황신학 전망에서의 하느님 이해 문제에 관한 성찰."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77(2016): 207-2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