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연령 자가거주 가구의 주거소비 조정 결정요인 분석

이용수  462

영문명
Do They Trade Down or Trade Up? Housing Adjustments of Older Homeowners in Korea
발행기관
한국주택학회
저자명
정의철(EuiChul Chung)
간행물 정보
『주택연구』住宅硏究 第24卷 第2號, 129~15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5.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고연령 자가거주 가구의 주거소비 조정 결정 요인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패널 7차년도(2004년)부터 17차년도(2014년)까지의 자료를 이용하여 가구주 연령이 55세 이상인 자가거주 가구의 주거이동 후의 주택점유형태 및 주거소비 조정 결정 메카니즘을 표본선택을 고려한 순위프로빗모형으로 추정하였다. 모형의 추정 결과 주거이동 후의 주택점유형태는 대부분 경제적 요인들에 의해 결정 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총자산 대비 주택자산 비율이 높거나 총자산 대비 부채 비율 이 높은 가구는 임차를 선택할 확률이 높고, 가구 실질소득이 높은 가구는 자가거주를 선택할 확률이 높아 향후 주택이외의 기타 재화 소비를 위한 재원을 확보할 수 있는지 여부가 주거이동 후의 주택점유형태 결정에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주거이동 후 다시 자가거주를 선택한 고연령 가구는 총자산 대비 주택자산 비율이 높 은 가구일수록 주거소비를 하향 조정(다운사이징)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상대 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주택으로 이동하여 미래 소비재원을 확보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총자산 대비 금융자산 비율이 높고, 가구 실질소득과 실질소득 증가율이 높은 가구는 오히려 주거소비를 상향 조정(업사이징)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가구들은 금융자산이나 소득이 상대적으로 많아 미래 소비에 대한 자산제약이나 소득제약이 없거나 크지 않으며, 오히려 더 비싼 주택을 구입할 만큼 투자 여력이 많은 가구들일 것이다. 또한 실질주택매매가격 상승률이 높은 지역에 거주하거나 실질주택매매가격 상승률이 높은 시기에는 주거이동을 통해 업사이징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고연령 가구에서도 투자동기로서의 주택소비 행태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housing adjustment behavior of older homeowners in Korea. A special emphasis is placed on housing adjustment decisions of the homeowners when they decide to own again following a move. Employing KLIPS panel data from 2004 to 2014, ordered probit models with sample selection were estimated using demographic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of homeowners of ages over 55 as explanatory variables.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housing tenure decisions of older homeowners after they move are mainly influenced by economic variables. The higher the ratio of housing asset to total asset, the higher the ratio of debt to total asset, it is more likely for them to rent. However, those who have higher household income are more likely to own again. This result indicates that older homeowners with high housing asset and low income move and rent houses to secure funds needed for their future non-housing consumption. Among the older homeowners who move and own again, those who have higher housing asset to total asset and lower household income are more likely to trade down, while those who have higher financial asset to total asset and higher household income coupled with higher income growth rate are more likely to trade up. Whether to have sufficient liquidity for their future consumption is a primary deriving force of their housing adjustment decisions. It is also found that the investment motive of housing consumption is still existing even in their later life.

목차

Abstract
I. 서론
II. 선행연구 검토
III. 실증분석모형 및 자료
IV. 추정결과
V. 결론
참고문헌
부록
국문요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의철(EuiChul Chung). (2016).고연령 자가거주 가구의 주거소비 조정 결정요인 분석. 주택연구, 24 (2), 129-154

MLA

정의철(EuiChul Chung). "고연령 자가거주 가구의 주거소비 조정 결정요인 분석." 주택연구, 24.2(2016): 129-1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