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Referred 113 Patients with Endophthalmitis after Cataract Surgery and Associated Prognostic Factors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최성찬(Seong Chan Choi) 조한주(Han Joo Cho) 김형석(Hyoung Seok Kim) 한정일(Jung Il Han) 이동원(Dong Won Lee) 조성원(Sung Won Cho) 이태곤(Tae Gon Lee) 김철구(Chul Gu Kim) 김종우(Jong Woo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7,number3, 420~428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백내장 수술 후 발생한 감염성 안내염으로 본원에 의뢰되어 치료 받은 환자들을 분석하여 최종 시력과 연관된 인자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8년부터 2013년까지 백내장 수술 후 발생한 안내염으로 본원에 의뢰된 환자 113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초진시력, 술 후 안내염 발생 시기, 전방축농 유무, 의뢰되어 시행한 치료의 종류, 균 동정 유무 및 종류 등이 최종시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결과: 환자 총 113명 중 초진시력이 안전수동 이하인 환자는 75명(66.3%)이었으며, 치료 후 최종시력이 0.5 이상 회복된 환자는 73명(64.6%)이었다. 초진시력이 안전수동 이상인 경우에 시력예후가 더 좋았으며(p=0.001), 그람 음성균에 의한 감염인 경우(p=0.007) 또는 백내장 수술 후 2일 이내에 발생한 안내염인 경우(p=0.043) 최종시력이 유의하게 나빴다. 초진시력이 안전수동 이상인 환자에서 초기 치료로 유리체절제술과 안구 내 항생제주입술은 최종시력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초진시력, 동정된 균의 종류와 백내장 수술 후 안내염 발생까지의 기간이 치료 후 좋은 시력예후와 연관이 있었다. 조기 유리체 절제술과 안구 내 항생제주입술의 치료 효과는 분명치 않았으나,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Purpose: To evaluate factors affecting final visual acuity by analyzing patients referred with infectious endophthalmitis after cataract surgery.
Methods: A retrospective investigation of clinical notes of 113 patients referred with endophthalmitis following cataract surgery was conducted from January 2008 to December 2013. To evaluate factors affecting final visual acuity, initial visual acuity, onset of endophthalmitis after the cataract surgery, types of treatment, presence of hypopyon and culture results were investigated.
Results: Of the 113 patients, visual acuities at presentation were hand motions or less in 75 patients (66.3%) and final visual acuities after treatments were 0.5 or better in 73 patients (64.6%). Cases with initial visual acuity of hand motions or better achieved favorable outcomes whereas cases with gram-negative infection or endophthalmitis occurring within 2 days postoperatively showed poor prognosis. Statistically, vitrectomy versus intraocular antibiotic injection as primary means of treatment showed no differences in final visual acuity in patients with initial visual acuity of hand motion or better.
Conclusions: Visual acuities at presentation, type of cultured organism and onset of endophthalmitis after cataract surgery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visual prognosis. Advantages of initial vitrectomy versus intraocular antibiotic injections were unclear and further investigations are necessary to clarify these issues.
목차
Abstract
대상과 방법
결과
고찰
REFERENCES
국문초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퇴행성 아래눈꺼풀속말림의 주요 원인을 동시 교정하는 복합수술법의 치료 효과분석
- 점상내측맥락막병증에서 베바시주맙 치료 후 재발된 맥락막 신생혈관의 치료 1예
- Ahmed 밸브 삽입술 후 발생한 관미란의 수술적 치료
- 중등도 및 고도근시 환자에서 라식과 각막표면연마굴절수술 후 10년간의 경과 관찰 비교
- 특발성 망막전막에서 내경계막제거 시 인도시아닌그린 사용 여부 및 노출시간에 따른 수술 결과 비교
- 중심망막정맥폐쇄에서 베바시주맙군과 저용량 베바시주맙-트리암시놀론 혼합군의 단기 효과 비교
- 이중샤임플러그 전안부분석기를 이용한 백내장 수술 시 인공수정체 도수 계산
- 유리체내 베바시주맙과 라니비주맙 주입술이 전신 순환에 미치는 영향
- 백내장 수술 후 발생한 안내염으로 의뢰된 113 사례 분석 및 시력예후와 관련된 인자
- 이식편대숙주반응으로 장기간 전신스테로이드 투여 후 발생한 소아 스테로이드 유발 녹내장 1예
- 난시교정각막절개술과 라식 수술 병합수술의 임상결과
- 정상안압녹내장 환자에서 단기간 프로스타글란딘 제제 사용이 각막생체역학에 미치는 영향
- 예초기에 의한 안외상 환자의 시대에 따른 임상양상의 변화
- 패실로마이세스 각막염: 국내 증례 보고 및 해외 문헌 고찰
- 양안 시효율과 삶의 질: 국민건강영양 조사자료의 분석
- 회절성 이중 다초점 인공수정체와 회절성 삼중 다초점 인공수정체의 임상 결과 비교
- 백내장 수술 시 첫 번째 안의 실제굴절오차의 반영률에 따른 두 번째 안의 실제굴절오차
- 거짓비늘증후군에서 혈청 호모시스테인 농도와 관상동맥심질환의 위험도 분석
- 생쥐의 망막혈관 발생 과정에서 혈관내피세포 및 혈관주위세포의 네스틴 발현 분석
- 선천섬유증증후군 환자에서 하직근 후전술 중 발생한 공막 천공 1예
- 소아에서 발생한 항 GQ1b 항체 양성 밀러피셔증후군 1예
- 위수정체안에서 자동각막굴절계와 이중샤임플러그에 의한 난시의 상관관계 분석
- 마이토마이신과 선택적인 5-Fluorouracil 주사치료를 병용한 아메드밸브 삽입술
- 급성대상잠재성외망막병증의 임상양상
- 면역억제제를 복용 중인 환자에서 안구표면 편평상피세포암의 안구 내 침범 1예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