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보건의료계열에서 학교병원을 기반으로 한 보건통합교육이 취업자의 직무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02
- 영문명
- The Effect of University Hospital-Based Integrated Education on the Work Performance of Employees in Public Health
- 발행기관
- 대한치료과학회
- 저자명
- 정태은(TaeEun Jung) 최한성(HanSeong Choi) 신소홍(SoHeung Shin) 최정희(JeongHee Choi) 정종훈(JongHoon Jung)
- 간행물 정보
- 『대한치료과학회지』Vol. 7, No. 1, 58~67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재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7.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new solutions for the reinforcement of work performance of the recently graduated employees in public health by analyzing the work performance of the graduates who did not take integrated education course in public health by comparing them with those who took integrated education course in public health.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2014 to April 2014 on 172 graduates who took integrated education course in public health based on the hospital clinical rotation and 153 graduates who did not take integrated education course in public health at the nursing school and public health school of D university located in Buk-gu, Daegu city. Results: The work performance of the graduates who did not take integrated education course in public health as opposed to those who took integrated education course in public healt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p<.05) . The work performance based on the general features, professionalism and clinical applic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ge and the number of years of employment(p<.05). Conclusion: Therefore, the positive improvement of work performance through integrated education in public health not only enhance work satisfaction, but also build a patient-oriented integrated medical thinking, and develop healthcare professionals. At this point where the recognition and evaluation of integrated education in public health are changing, a systematic study is needed on the role of integrated education in public health..
목차
ABSTRACT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 결과
IV. 고찰
V.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래등세모근 강화운동이 둥근 어깨를 가진 어깨 통증 환자의 통증, 기능장애에 미치는 영향
- STS 높이에 따른 훈련이 뇌성마비 아동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 상상훈련 중재방법의 차이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 시각적 피드백 동적 기립 훈련이 독립적인 보행이 어려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하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 보건의료계열에서 학교병원을 기반으로 한 보건통합교육이 취업자의 직무능력에 미치는 영향
- 기능적 전기 자극 치료가 척수 손상 사지마비 환자의 건고정술 (tenodesis grip)에 미치는 영향
- 국내 호흡치료의 필요성에 대한 보건・의료인 및 대학교수들의 인식도 조사
- 트레드밀 보행훈련 시 거울과 가상현실기반 이용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에 미치는 효과
- 뇌졸중 연하장애 환자의 호기근육 강화 훈련에 관한 연구
- 만성 뇌졸중 환자에서 골반 움직임 중재가 보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재활의학분야 BEST
- 중증정신질환자가 이용하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인지행동치료가 조현병 환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조현병 환자에게 적용한 그룹인지재활프로그램이 인지기능과 작업적 참여에 미치는 효과
의약학 > 재활의학분야 NEW
- Effects of Progressive Velocity Underwater Gait Training on Balance and Gait Abilities in Stroke Patients
- Performance Evaluation of ChatGPT-4o on Korean Physical Therapist Licensing Examination
- Effect of Neck Stabilization Exercise with Reverse Plank Exercise on Neck Alignment and Muscle Function in University Students with Forward Head Posture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