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on Hand function using Tenodesis grip and Muscle activity in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 발행기관
- 대한치료과학회
- 저자명
- 서지영(Seo Ji-Young) 김희수(Kim Hee-Soo) 박종욱(Park Jong-Uk)
- 간행물 정보
- 『대한치료과학회지』Vol. 7, No. 2, 45~55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재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FES) and task training on hand function using tenodesis grip and muscle activity in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Method: Twenty four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whose C5-7 had been injured were randomly assigned to a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FES) group and a task training group and then training was performed three times per week, 30 minutes pereach time, for six weeks. Hand function was measured with Jebsen hand function test(JHFT) and activity of the extensor carpi radialis(ECR), 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FDS) and flexor digitorum profundus(FDP), flexor pollicis longus(FPL) was measured with surface electromyography. In order to compare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within each group, Wilcoxon's signed-ranks test was conducted and in order to compare differences in changes between the groups, Mann-whitney U test was carried out.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of all data was set at p<.05.
Result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hand function test and muscle activity results in both groups after the intervention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areas except for muscle activity of the extensor carpi radialis(ECR) in comparison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FES) and task training were effective for improvement in hand functions using tenodesis grip of spinal cord injury patients and in particular task training combined with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FES) was more effective than task training alon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Ⅵ.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트레드밀 보행훈련 시 다양한 되먹임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 뇌졸중 환자에게 선택적 과제지향 훈련이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 호기 기능 강화 훈련이 뇌졸중 삼킴 장애 환자의 삼킴 및 호기 기능에 미치는 영향
- 다양한 지면 보행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 및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
- 기능적 전기 자극이 척수 손상 환자의 건 고정술을 이용한 손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뇌성마비 아동의 활동 중심으로한 하지 근력 강화 운동 효과
- 자전거를 타는 동안 유효탑튜브길이와 안장 높이가 전방머리자세와 목과 어깨 근육의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뻗기’ 및 ‘쥐기’를 이용한 과제지향적 접근법이 시지각과 시야탐색능력에 미치는 영향
- 고유수용감각 운동이 유소년 축구선수의 발목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 보청기 장착 전후 음소 오류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재활의학분야 BEST
- 대학생의 소셜 미디어에 대한 과도한 이용과 중독이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중증정신질환자가 이용하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인지행동치료가 조현병 환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고찰
의약학 > 재활의학분야 NEW
- Explor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mart Insoles in Gait Parameter Measurement: A Cross-sectional Study
- Synergistic Effects of Non-Invasive Brain Stimulation and Mindfulness Training on Pain and Self-Reported Mindfulness in Patients with Chronic Pain
- Scoping Review of Depth-Sensing Technologies for Balance and Gait Assessments in Older Adults: Implications for Fall Prevention in Rehabilita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