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차언어 연구를 통한 한국어-영어 이중언어아동의 수용어휘력 평가
이용수 2,298
- 영문명
- Receptive Vocabulary Assessment in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Cross-linguistic Investigation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임동선(Dongsun Yim) 윤사라(Sara Yoon) 이지연(Jiyeon Lee)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1. no.1, 131~138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중언어아동의 어휘 평가 시, 일반적으로 단일언어아동을 대상으로 제작된 표준화 검사도구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중언어아동이 사용하는 두 언어 중 한 언어만을 평가한다면, 언어능력을 과소평가하여 언어장애로 과잉 진단할 우려가 있다. 이중언어아동의 연령 증가와 언어경험의 변화를 겪으면서 우세/비우세 언어가 전환될 수 있는데, 두 언어권의 검사도구에 대한 적용이 가능한 상황에서 우세언어에 따라 검사도구 선택에 영향을 주는지, 검사결과를 통해 우세언어를 파악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42명의 만 3-6세 아동들(단일언어 vs. 한국어우세 이중언어 vs. 영어우세 이중언어)을 대상으로 수용어휘력 검사 REVT-R과 PPVT-IV를 실시하여 원점수 및 통합점수를 비교하였다. 통계처리는 공변량 분산분석, 이원혼합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수용어휘력검사에서 한국어만으로 평가한 경우, 한국어우세 이중언어아동집단과 단일언어아동집단의 원점수가 영어우세 이중언어아동집단보다 높았으나 한국어우세 이중언어아동집단과 단일언어집단 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한국어와 영어로 평가한 경우, 한국어우세 이중언어아동집단과 영어우세 이중언어아동집단의 통합점수는 단일언어아동집단의 원점수와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통합점수 방식은 이중언어아동의 수용어휘력을 적절히 평가할 수 있었으며, 우세언어 및 비우세언어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확인 또한 가능하게 하였다. 논의 및 결론: 이중언어아동의 수용어휘력 평가를 위해 표준화된 언어평가도구의 적용이 가능하지만 우세언어와 비우세언어를 제시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하며, 우세언어에 따라 두 언어권에 해당되는 검사도구 중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Standardized tests are generally used in clinical settings in order to evaluate vocabulary size. However, this method may either overestimate or underestimate bilingual children’s vocabulary skill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standardized tests used with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who have a different dominant languag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whether social status of a language may influence bilingual chil¬dren’s language outcomes and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composite scoring systems in standardized tests. Methods: Forty-two participants age 3 to 6 formed three groups: Ko¬rean-English bilinguals who speak Korean dominantly (KD-KEB), Korean-English bilinguals who speak English dominantly (ED-KEB), and monolinguals who speak Korean (K-MO).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and Peabody Picture Vocabulary Test-fourth edition (PPVT-IV) were used; raw score and composite scoring systems were com¬pared (within groups). Results: The raw sco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who are dominant in Korean and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who are dominant in English and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who are dominant in Korean and Korean speaking monolingual children. How¬ever, the three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composite scores of REVT-R and PPVT-IV. Conclusion: Standardized tests can be used to evaluate bilinguals’ receptive vo¬cabulary if composite scoring systems are applied. Thus, standardized test can be used se¬lectively based on dominant language.
목차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말소리장애아동의 새로운 음운표상 형성 능력
- 자발화 분석을 통한 만 2세 한국아동의 말-언어발달 특성
- 음소 지각 발달 연구 고찰 및 관련한 한국어 연구의 동향과 과제
- 노년기 인지-언어 능력에 대한 정보제공자 보고형 평가척도(ISCOLE)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 청년과 노인집단에서 어휘 특성에 따른 설단 현상 발생 및 해결 양상의 차이
- 미숙아 출생 영유아의 언어발달지체 출현율
- 학령기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동음이의어 정의하기
- 조음음운장애아동의 음운인식능력과 암묵적 학습능력 간의 관계
- 6, 7세 아동의 시연조건에 따른 지연 비단어따라말하기 능력 비교
- 실어증 환자들을 위한 CILT 중재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의미범주기반 작업기억 중재가 실어증환자의 문장이해 및 단어유창성에 미치는 일반화 효과
- 아동의 어휘발달 촉진을 위한 언어입력환경으로서의 동화책 어휘 연구: 용언을 중심으로
- 6-7세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이야기에 대한 ‘대화식 책 읽기’효과
- 말소리장애 아동의 말지각 연구: 어휘력과 자음정확도와의 관계
- 교차언어 연구를 통한 한국어-영어 이중언어아동의 수용어휘력 평가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단어재인에서 간섭자극 억제능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경계선급 지적 기능 고등학생의 진로 및 진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