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적자원이 지각하는 직장 내 체험적 요인이 직원 간 상호작용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20

영문명
The Impact of Experiences of Employees’ in the Job on Interactivity among Them and Job Satisfaction
발행기관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저자명
김문태(Kim, Moon Tae)
간행물 정보
『인적자원관리연구』제23권 제1호, 179~198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2.28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직장 내 인적자원들이 지각하는 체험적 요인들이 직원들 간의 상호작용성을 증대시키고 직무만족을 이끌며 결국 조직몰입과 고객지향성이라는 성과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기본적으로 기존의 근무환경, 인센티브, 리더십 등 직무만족을 이끄는 여러 요인들과 달리 마케팅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는 소비자들이 브랜드에 대해 지각하는 체험을 인적자원이 지각할 수 있는 직장에서의 체험으로 변형하여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로 도입하여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차별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본 연구의 구체적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적자원들의 직장 내에서 지각하는 감각적 체험이 긍정적일수록 행동적 체험이 긍정적이고 직원 간 상호작용성이 높아지며 결국 직무만족을 달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감각적이고 감성적인 직장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할 수 있다. 둘째, 직원들 간의 상호작용성을 높여주는 것이 또한 중요한 직무만족의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과거 온라인 커뮤니티의 활성화 연구에서 등장했던 상호작용성이 일반 회사에서도 똑같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을 검증하였는데 즉, 직원들 간의 소통이 원활하고 적극적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것은 조직성과를 위한 매우 중요한 요인일 수 있다는 것이다. 직원들이 잘 갖추어진 근무환경, 리더가 창출하는 긍정적인 직장 분위기로 즐겁고 감성적인 조직문화를 만들어 준다면 결국 이는 직원들 간의 상호작용과 직무만족을 이끄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기에 직원들의 상호작용성이 높다는 것은 성공적인 회사 일 수 있다는 반증이라고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인적자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고객을 응대하는 회사 직원들의 고객지향성으로 이어주는 중요한 동인이 되었다. 이는 과거 연구들과도 비슷한 결과라고 볼 수 있는데 이전의 내부마케팅 연구에서 제시되었듯이 회사에 대한 만족과 충성도는 특히 고객을 응대하는 직무에 있는 인적자원들이 고객에게 최선을 다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영향요소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testify that experiences of employees in the company influence on interactivity among them and their job satisfaction, and finally these variables can lead to organization commitment and customer orientation. Apart from various factors like job environment, incentives, and CEO’s leadership, this research has it’s differentiation in that adapt the variables like experience and interactivity those are used in studies of marketing area on job satisfaction. And, research implications are as follow. First, positive experiences in the job enhance interactivity among worker and finally lead to positive job satisfaction. This means that it is important for company to make emotional and enjoyable job environments. Second, enhancing the interactivity among employees can be one of essential tools to lead higher level of job satisfaction. It shows that making an atmosphere that workers communicate actively each other, and information flows well throughout the channels in the company without conflicts are important to satisfaction. Higher level of interactivity among workers means a company has successful organizational culture. And finally,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are important drivers that lead to higher level of employee’s customer orientation. It is same with past studies. As suggested in the past internal marketing research, satisfaction and commitment for company can be essential factors that employees can do their best for customer satisfac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체험관련 연구
2. 상호작용성에 대한 연구
3.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대한 연구
4. 고객지향성에 대한 연구
Ⅲ. 연구가설
1. 직장 내 체험과 직원 간 상호작용성 및 직무만족
2. 직원 간 상호작용성과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
3.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및 고객지향성
Ⅳ.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변수의 측정
3. 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
4. 변수들 간 상관관계분석
5. 가설검증
Ⅴ. 결 론
1. 연구결과의 시사점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문태(Kim, Moon Tae). (2016).인적자원이 지각하는 직장 내 체험적 요인이 직원 간 상호작용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관리연구, 23 (1), 179-198

MLA

김문태(Kim, Moon Tae). "인적자원이 지각하는 직장 내 체험적 요인이 직원 간 상호작용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관리연구, 23.1(2016): 179-19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