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daptive selling behavior and sales performance: The moderating effect of salespeople resources and selling environment
이용수 42
- 영문명
- 호텔 종사원의 적응판매와 판매성과 간의 관계성에 대한 판매원의 자원과 판매환경의 조절효과
- 발행기관
- 대한관광경영학회
- 저자명
- Kim Byeong-Yong(김병용)
- 간행물 정보
- 『관광연구』제23권 제1호, 439~46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5.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서비스 판매원과 연구자들은 적응판매(adaptive selling) 전략이 다양한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인식해 왔다. 본 연구는 적응판매가 판매원 성과에 미치는 직접 영향, 그리고 판매원 자원(예: 고객정보 창출과 제품지식)과 판매환경(예: 고객 이질성)이 이들 변수 간의 조절효과(moderating effects)를 호텔에 종사하는 판매원을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총 2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154부를 회수하였으며 연구 분석에는 151부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판매원의 적응 판매행동이 판매원의 판매성과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또한 이들 변수간의 조절효과도 모두 유의하게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적응판매 능력을 가진 판매원 채용은 물론 이러한 능력 향상을 위해 교육훈련이 중요하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판매환경에 적응하고 판매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호텔경영자는 판매원의 판매능력에 맞는 판매 전략을 개발하는데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영문 초록
Sales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have long recognized that adaptive selling strategies are important in meeting the needs of various customers. The current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1)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adaptive selling behavior and sales performance and (2) the moderating effects that salespeople resources (e.g; customer information generation and product knowledge) and selling environment e.g., customer heterogeneity) have on the adaptive selling behavior-sales performance relationship in the hotel industry. Out of 200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salespeople from 10 five-star hotel companies, a total of 154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three of them were deleted, and 151 responses were used to analyze data Results reveal that adaptive selling behavior enhances sales performance, and this relationship is stronger when salespeople have more resources and when the customer base is more diver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sales managers should either select salespeople who possess these skills or train all salespeople in adaptive selling techniques. Additionally, sales managers need to develop a salesperson's ability to differentiate and develop sales strategies in an encountered selling environment.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Ⅲ. A conceptual framework and hypothesis development
Ⅳ. Methodology
Ⅴ. Results
Ⅵ. Conclusion and implication
References
요약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호텔 종사자의 조직-자아존중감의 선행ㆍ결과변수에 대한 연구
- 모바일 관광정보서비스 경험에 따른 고객행동분석
- 승진역할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국내외 신혼여행목적지 포지셔닝 및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관광지 속성에 관한 연구
- 소비자 성향에 따른 인터넷 여행사의 e-서비스스케이프가 전환장벽과 e-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레스토랑 소비자의 분위기 요인 지각 정도에 따른 선택속성과 지각 가치, 만족 및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여행사의 공간적 유형과 변화
- 호텔 종사원간의 관계요인이 동료신뢰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
- 한국의 국제선 저가항공사 비즈니스 모델
- Adaptive selling behavior and sales performance: The moderating effect of salespeople resources and selling environment
- 고객충성도의 요인 구조 및 상대적 중요도에 관한 연구
- 2007경주세계문화엑스포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 지역축제 활성화를 위한 방문객 집단별 평가 차이 비교
- 저가항공사의 브랜드이미지와 고객만족, 전환장벽, 브랜드충성도와의 관계
- 호텔레스토랑의 로하스 이미지와 관여도, 고객만족, 고객충성도와의 영향관계
- 지역문화축제의 경제적가치평가에 관한 연구
- 중년과 노인의 여가활동유형과 우울, 고독감간의 관계
- 개인적ㆍ조직적 요인에 따른 관광산업 종업원의 윤리풍토 인지 차이에 관한 연구
- 축제서비스품질 측정모형간 비교우위
- 관광활동ㆍ관광만족ㆍ웰빙지각의 한ㆍ중ㆍ일 국가간 비교분석
- 관광산업의 FDI 유치 활성화를 위한 경제적 요인 분석
- 모험관광객의 플로우(flow) 경험구조
- 여행사 OnㆍOff Line 유통기능요인과 고객충성도와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K-콘텐츠를 활용한 지역관광 활성화 방안 : 춘천 사례를 중심으로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스마트관광 척도개발: 항공산업을 중심으로
- 산업관광과 지역 문화관광 콘텐츠의 융합이 외래 관광객 유치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자본, 주민주도형 축제 참여 경험, 지역애착 간 구조적 관계 분석: 전라남도 영광군 찰보리축제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