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진하해수욕장 명선도 주변의 표사이동특성 연구
이용수 68
- 영문명
- A Study on a Characteristics of Sediment Transport around Myeongseondo at Jinha Beach
- 발행기관
- 한국연안방재학회
- 저자명
- 장성열(Sung-Yeol Jang) 조상민(Sang-Min Cho) 박원경(Won-Kyung Park) 정희태(Hui-Tae Je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연안방재학회지』제1권 제3호, 118~125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7.29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analyzed coastal topography change by beach survey nine times a year after installation of a sediment transport reduction facilities(ton-bag) on the sea between Jinha beach and Myeongseondo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ause of erosion on the Jinha beach and deposition on the Hoeya river estuary. Also, we selected the point of flow property on behind the Myeongseondo analyzing wave-induced current upon wave conditions using SWASH model.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 of sediment transport at the Jinha beach was found as
below : the transport from the South to the North is superior, whereupon deposition occurs continuously on the Hoeya river estuary and erosion occurs continuously on the Jinha beach. Furthermore, wave-induced current at behind the Myeongseondo shows different tendency depends on intensity of wave breaking due to complicated topographic characteristics even though it is same wave direction.
목차
1. 서 론
2. 대상해역의 현황
3. 장기 해안변화 이력분석 결과
4. 표사이동 임시저감시설(톤백) 설치 및 현장관측
5. 수치모형실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한국의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효과 분석 연구
-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특허 동향 분석
- 산불에 의한 지하수 토양 환경오염과 방사성 물질 분포 및 거동 영향 고찰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Middle Triassic Post-collisional Granitoid in the Western Gyeonggi Massif, Korea: Crustal Melting during the Permo-Triassic Orogenic Collapsing
- 산청-하동지역 회장암체와 회장암체 내 수반되는 Fe-Ti Oxide 광화작용에 관한 예비연구
- 활석 함유 화장품과 생활용품의 광물학적 특성과 석면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