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러시아가족법상 법정부부재산제의 어제와 오늘
이용수 92
- 영문명
- The Russian legal marital property regime: the past and the present
- 발행기관
- 한국가족법학회
- 저자명
- 이제우(Lee, Je-Woo)
- 간행물 정보
- 『가족법연구』家族法硏究 第29卷 3號, 193~22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1.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Comparative law analyses on marital property regimes, and community property in particular almost always focus on a select number of legal systems, such as those of France, Italy and certain American states. It is unfortunate that Russian family law which adopted the community property regime in 1926 is rarely, if ever, mentioned in such studies. However the fact that in Russia spouses have for almost a century enjoyed joint ownership of property acquired during marriage, should not be neglected. On the contrary, given that Russian family law takes its roots from socialist family law, which is still prevalent in many parts of the world, including former Soviet republics as well as North Korea and China, it deserves to be the subject of extensive research. In the present work the author examines the theoretical foundation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community property in Russia. Special focus is placed on identifying the rationale behind the legislation of
the revolutionary lawmakers of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in Soviet Russia. No less important is the emphasis on how Russian family law influenced the marital property regime in North Korea. The present work also studies the current Russian property regime between spouses. Both doctrine and case law are explored thoroughly. Such research reveals among other things that the balance between the independence of spouses and the communal nature of marriage, is skewed in favor of the latter. Such a conclusion may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marital property regime in Korea.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러시아가족법상 법정부부재산제의 입법연혁
Ⅲ. 현행 러시아가족법상 법정부부재산제에 관한 고찰
Ⅳ. 러시아가족법의 비교법적 의의: 북한가족법을 중심으로
Ⅴ. 우리 민법에 대한 시사점(결론에 갈음하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상속재산의 특별재산성과 단체로서의 공동상속인
- 미국에서의 사실혼해소와 재산분할
- 재입양의 허용에 관한 고찰
- 피상속인의 배우자와 자녀 중 자녀 전부가 상속포기한 경우 상속재산의 귀속
- 大陸人民繼承臺灣人民遺產之相關規範
- 분단과 남.북한 친족법의 변화
- 부양법, 가족법상 독자성을 찾아서
- 가족생활의 형사법적 보호와 민사법적 보호 간의 긴장
- 러시아가족법상 법정부부재산제의 어제와 오늘
- 목차
- 남북한가족법의 변천과 남북통일 후 가족법의 미래상
- 베트남 통일 이후의 혼인가정법 통합 과정
- 독일법상 면접교섭보조인제도에 관한 소고
- 中国大陆与台湾亲属法差异及其对两岸通婚的影响
- 부 록
- 離婚에 있어 親權 및 養育責任問題에 대한 새로운 접근
- 이혼시 재산분할청구권 보전을 위한 사해행위취소권의 피보전채권
- 發刊辭
- 분단경험과 남북한 상속법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