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GWP 모형에 의한 공공기관의 조직문화 개선사례 연구
이용수 1,380
- 영문명
- A Case Research on the Public Institution’s Organizational Culture Improvement by the GWP Model
- 발행기관
- 한국인사행정학회
- 저자명
- 권찬호(Kwon Chan ho) 김미경(Kim Mi ky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사행정학회보』제14권 제1호, 1~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4.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조직문화 이론가들은 ‘좋은 일터(GWP)’ 모형을 공공기관들에 적용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GWP 모형에서의 조직문화 속성인 신뢰(trust), 자부심(pride), 재미(fun)의 가치를 중심으로 식약처의 상황을 분석하여 공공기관의 조직성과 제고에 관한 조직문화적 접근방법의 유효성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조직운영의 경직성, 변화에 대한 추동력, 구성원 간 의사소통, 구성원들 간 신뢰, 조직자체에 대한 자긍심이 주요 변수로 드러났다. 특히 의사소통과 조직신뢰가 가장 큰 요인이었고, 조직효과성의 지표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과의 상관성도 높게 나타났다. 또 본청이 지방청에 비해, 여성이 남성에 비해, 하위직이 상위직에 비해 조직문화지수가 유의하게 낮았다.
분석결과 ‘좋은 일터(GWP)’ 모형을 적용한 조직문화 진단이 유용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향후 공사조직에 두루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나아가 이 연구가 한국 공공기관들의 조직관리에 대한 전략적 연구에도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으로 믿는다.
영문 초록
Recently, organizational culture theorists have begun applying the GWP (Great Work Place) model to public institutions. This paper examines the validity of this approach on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public institutions based on values of organizational culture such as trust, pride, and fun, through situation analysis of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Rigidity of organization operation, motivation for change, communication and trust among members, and organizational pride were found to be the main variables of organizational culture. The main factors causing such problems were deficiency in communication and trust, with highest correlation observed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immersion, the index for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lso, the organizational culture index showed significantly lower values in headquarters than local branches, in women than men, and in lower ranking than higher ranking officials.
According to analysis, application of the GWP model to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can be a valuable tool for diagno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is suggests that the GWP model will provide implications for strategic research on organizational management of public institutions of Korea.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조직문화 진단모형
Ⅳ. 조직문화 진단과 결과분석
Ⅴ. 진단결과 시사점과 향후 과제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변혁적 리더십과 진성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TNA)을 활용한 한국인사행정학의 연구경향 분석
- GWP 모형에 의한 공공기관의 조직문화 개선사례 연구
- 청소년지도자 교육훈련의현업적용도 평가와 개선방안
- 도덕적 스트레스 연구 동향과 가상 시나리오
- 한국 공무원의 공직선택 동기 연구 : 직종별 하위직 공무원들의 인식 비교
- 감정노동에 대한 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 Competency - based Training Program Adopted by the Korean Civil Service in Support of a Personnel Management Reform Strategy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Management Review Vol.20 No.1 Contents
- Is Modernization of Public Transport in The Philippines A Boon or A Bane for The Filipino People?
- Toward a Framework for IT Utilization in Organizations: A Literature Review from the Perspective of Organizational Theor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