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녹내장 환자와 녹내장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불안과 우울
이용수 320
- 영문명
- Depression and Anxiety in Patients with Glaucoma or Glaucoma Suspect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황문원 김정림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6,number7, 1089~1095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7.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녹내장 환자와 녹내장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불안과 우울의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녹내장 의심 환자 72명과 녹내장으로 약물치료를 받는 환자 72명, 특별한 질환이 없는 일반인 26명에서 불안과 우울의정도를 한국형 병원 불안 우울 척도 설문지를 통해 알아보았으며 불안과 우울의 척도가 각 10점 이상일 때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불안과 우울로 정의하였다. 녹내장 환자군의 좋은 눈의 시력과 시야의 정도에 따른 불안과 우울도 알아보았다.
결과: 10점 이상의 불안을 보인 경우가 일반인에서 3명(11.5%), 녹내장 의심환자에서 11명(15.3%), 녹내장 환자에서 15명(20.8%)이었다. 10점 이상의 우울을 보인 경우는 일반인에서 1명(3.8%), 녹내장 의심 환자에서 5명(6.9%), 녹내장 환자는 15명(20.8%)으로 세 군간에 차이를 보였고 일반인, 녹내장 의심, 녹내장 순서로 우울비율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녹내장 환자 중 좋은 눈의 시야 Mean deivation (MD) 값이 -6 dB 미만인 군이 -6 dB 이상인 군에 비해 불안을 보인 환자의 비율이 높았으며, 좋은 눈의 시력이 0.5 미만인군이 0.5 이상인 군에 비해 불안과 우울의 점수가 높았다.
결론: 일반인, 녹내장의심환자, 녹내장환자 순서로 우울비율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고, 녹내장 환자에서 시야와 시력의 정도에 따라 불안과 우울에 차이를 보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볼 때 녹내장의심환자와 녹내장환자에서 안과적인 치료뿐 아니라 정서적인 치료에도 신경을 쓰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o investigate depression and anxiety in patients with glaucoma or glaucoma suspect.
Methods: Seventy-two patients with glaucoma, 72 patients with glaucoma suspect and 26 controls comprised the study population. Anxiety and depression was evaluated by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HADS) questionnaire. In this study,scores higher than 10 on the HADS-A and HADS-D were defined as anxiety and depression, respec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HADS and mean deviation (MD) of visual field tests or visual acuity of the better eye was analyzed in glaucoma patients.
Results: Three (11.5%) controls, 11 (15.3%) patients with glaucoma suspect, and 15 (20.8%) patients with glaucoma had anxiety. One (3.8%) control, 5 (6.9%) patients with glaucoma suspect, and 15 (20.8%) patients with glaucoma had depression.
In glaucoma patients, the number of anxiety patients was higher in patients who had MD of less than -6 dB and the numbers of anxiety and depression patients were higher in patients who had visual acuity of lower than 20/40.
Conclusions: The rate of depression in patients with glaucoma is higher than that of glaucoma suspect and control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groups in rate of anxiety. Clinicians are advised to not only offer medical treatment but also should monitor for mood disturbances like anxiety and depression to ensure compliance and quality of life of patient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눈꺼풀에 발생한 일차성 전신성 아밀로이드증 1예
- 젊은 연령층에서의 에너지 음료 섭취와 안압과의 상관관계
- 비에띠결정색소망막이영양증에서 나타난 바깥 망막 관상화 3예
- 전신 마취 중 안구 보호를 위한 서로 다른 안 연고의 효과 비교
- 원추각막 콘택트렌즈의 장기적 효과 및 안전성
- 사시수술의 학습곡선
- 보그트-고야나기-하라다 병에서의 스펙트럼 영역 빛간섭단층촬영 소견 2예
- 술 전 눈물길 더듬자 검사에서 저항을 보이는 위치에 따른 실리콘관 삽입술의 치료 효과
- 접이식 홍채고정 안내렌즈 삽입술의 1년 경과 관찰 임상성적 및 각막내피세포 변화
- 25년 동안의 안과 관련 의료소송
- 유리체절제술과 수정체유화술 동시수술 시 접촉식초음파와 부분결합간섭계의 술 후 굴절력 예측 비교
- 망막하출혈이 발생한 결절맥락막혈관병증의 특징
- 굴절교정레이저각막절제술 후 0.1% 플루오로메토론 점안액 사용으로 인한 안압상승의 빈도
- 유리체절제술 중 0.025% Brilliant Blue G를 이용한 내경계막 제거
- 개방각 녹내장 환자와 폐쇄각 녹내장 환자에서 녹내장 삼중수술의 효과
- 비부종양 자가면역망막병증 1예
- 회전진동방식과 직선운동방식의 초음파 수정체유화술의 임상결과 비교
- 스트레이라이트 및 빛번짐 정도를 이용한 한국인의 후낭 혼탁의 분석
- 40, 50대 특발성 망막앞막에서 수정체 보존 유리체절제술 후 근시변화 및 백내장 진행
- 가장자리 각막난시를 가진 근시 환자에서 난시 각막굴절교정 렌즈의 효과
- RTVue 빛간섭단층촬영기로 측정한 맥락막 두께와 연관인자에 관한 연구
- 녹내장 환자와 녹내장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불안과 우울
- 굴절수술 후 잔여 근시에 대한 보강수술로서 각막표면연마굴절수술과 마이토마이신의 효과
- 근시교정수술 후 발생한 스테로이드 유발 안압 상승의 발생률
- Sweet Syndrome에 의한 양안 포도막염 1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