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수업방식, 교사특성, 수업분위기와 창의성과의 관계
이용수 717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among the Elementary Student's Perceived Class Method, Teacher Characteristics, Class Atmosphere and Creativity
- 발행기관
- 한국창의력교육학회
- 저자명
- 김누리(Kim Noo Ree) 이희현(Lee Hee Hyun) 김효원(Kim Hyo Won)
- 간행물 정보
- 『창의력교육연구』제15권 제2호, 17~3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8.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맥락 중 학교의 수업환경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초등학교 5학년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교육종단조사 2013(KELS)의 1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수업방식과 교사특성이 수업분위기를 매개로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수업방식, 교사특성(교사지원, 교사열의, 성취압력), 수업분위기는 창의성과 모두 정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설정한 연구모형에 따라 교사의 수업방식과 교사특성은 수업분위기를 매개로 학생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교사의 수업방식은 학생의 창의성에 직접적인 영향만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특성 중 교사지원과 교사열의는 창의성에 정적인 영향을, 성취압력은 창의 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교사의 지원과 열의는 수업분위기를 매개로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및 논의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교사들에게 초등학생들의 창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실질적인 교수-학습방법, 학급경영, 교실환경 조성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class environment of school focused on the environmental context affects the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For the study 7,280 students' data from data of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KEL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ing method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ived teachers, teacher characteristics, class atmosphere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Second, the teaching methods of teachers and teacher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model studies were identified affect the creativity of the students mediating a class atmosphere. As a result, the teaching methods of teachers showed that only a direct impact on the creativity of the students. Teachers enthusiasm and teacher support gave a positive effect on creativity, achievement pressure influenced a negative effect on creativity. In particular, the positiv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appeared to affect creativity to mediate the class atmospher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formulated several educational suggestions with respect to creative class environmen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